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이른바 ‘윤중천 면담보고서 허위 작성 의혹’과 관련해 이광철 청와대 민정비서관 자택을 압수수색했다. 공수처는 청와대에도 압수수색 영장을 제시하고 임의제출 형식으로 자료를 제출받을 계획이다.
20일 법조계에 따르면 공수처 수사3부(부장검사 최석규)는 20일 청와대 민정수석실 및 이 비서관 자택에 대한 압수수색을 시도했다. 공수처는 이날 오전 청와대에 공수처 검사와 수사관들을 보내 압수수색 영장을 제시했다. 청와대는 필요한 자료를 임의제출하는 형식으로 압수수색에 응할 계획이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대통령 비서실은 국가보안시설로 압수수색 영장 집행보다는 임의제출 방식으로 수사에 협조해왔다”며 “이번 공수처 영장 집행에도 이전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사에 협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공수처의 압수수색은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 재조사 과정에서 불거진 ‘윤중천 면담보고서 허위 작성 의혹’과 관련해 이뤄졌다. 공수처는 이 비서관 자택에서도 관련 자료를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비서관은 앞서 김 전 차관 불법 출국금지 과정에도 관여한 혐의로 불구속 기소됐었다.
공수처는 앞서 서울중앙지검 형사1부가 이첩한 이규원 검사 사건을 수사해왔다. 이 검사는 지난 2018년 김 전 차관을 접대한 의혹을 받는 윤중천씨와 면담을 가졌다. 이후 대화 내용은 보고서 형식으로 작성됐다. 보고서에는 전‧현직 검찰 고위간부들의 이름이 등장했고 관련 내용이 언론에 보도되기도 했다. 이후 국민의힘 곽상도 의원 등은 이 검사를 명예훼손 등의 혐의로 고소했다. 검찰은 김 전 차관 재조사 과정에서 이 검사와 이 비서관이 긴밀하게 연락을 주고받은 정황을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이 검사 사건을 공수처에 이첩했었다. 공수처는 지난 4월 이 검사를 입건하고 세 차례 소환 조사한 바 있다. 공수처는 지난 8일 대검찰청 검찰총장 부속실 직원인 A수사관 사무실을 압수수색해 관련 자료를 확보하기도 했다. A수사관은 이 검사가 윤씨를 면담할 때 동석하는 등 면담보고서에 관여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나성원 구승은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