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검찰총장은 ‘주 120시간 노동’ 발언 논란에 대해 “저와 정치적으로 반대쪽에 있는 분들이 제가 ‘120시간씩 일하라’ 이런 식으로 했다는 식으로 왜곡한다는 말을 들었는데, 일고의 가치가 없는 이야기”라고 일축했다.
윤 전 총장은 20일 대구 중구 대신동 서문시장에서 상가연합회 간담회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2주 전 청년 스타트업 행사에 가서 제가 애로사항을 물어봤다. 그분들이 집중적으로 일할 수 있는 것을 노사 합의에 의해서 변형할 수 있는 예외를 두면 좋겠다는 얘기를 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윤 전 총장은 “근로자를 압박해 합의 형식을 빌리는 게 아니라, 근로자들이 근로조건 자기결정권을 갖게 하는 게 기업뿐 아니라 근로자들에게도 좋은 건데 예외를 둬야 하지 않겠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그는 매일경제와의 인터뷰에서 “현 정부는 주52시간 근로제로 일자리가 생긴다고 주장했지만 일자리 증가율이(작년 중소기업 기준) 0.1% 불과하다는 통계가 있다”며 “(주52시간제는) 실패한 정책”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스타트업 청년들을 만났더니 주52시간 제도 시행에 예외조항을 둬 근로자가 조건을 합의하거나 선택할 수 있게 해 달라고 토로했다”며 “게임 하나 개발하려면 한 주에 52시간이 아니라 1주일에 120시간이라도 바짝 일하고, 이후에 마음껏 쉴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편 윤 전 총장은 국민의힘 입당 여부와 시기를 묻는 말에는 “정치를 처음 시작했기에 많은 국민과 현장에서 스킨십하고 얘기를 들어보고 눈으로 보고 이런 과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며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심재철 서울남부지검장이 전날 윤 전 총장을 겨냥해 “정치적 중립을 철저하게 지키지 못한다면 총장으로서 자격이 없다”고 직격한 데 대해서는 “제가 언급할 가치가 없다”고 맞받았다.
최근 지지율 정체에 대해서는 “정치인이 매일, 일주일에 한 번씩 실시되는 조사에 막 흔들리거나 일희일비해서는 (안 된다)”며 “국민을 위한, 국민만 바라보는 일관된 정치를 하는 데는 좀 더 의연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문시장을 찾은 배경에 대해서는 “5년 전 화재와 코로나로 인해서 직격탄을 맞고 상인들이 타격을 받은 곳이기 때문에 이분들의 고충과 실상을 직접 눈으로 보기 위해서 온 것”이라고 했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