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54세 백신 예약이 지난 19일 오후 8시부터 시작됐지만 사전예약이 또 ‘먹통’ 사태를 빚었다. 이번이 벌써 세 번째다. 접종도 아닌 예약 단계부터 혼란이 반복되자 사전예약에 나섰던 이들은 분통을 터뜨렸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온라인 곳곳에서 비공식 통로로 사전예약 시스템에 접속해 예약에 성공했다는 글이 이어졌다.
코로나19 백신 사전예약시스템은 이날 오후 9시 현재 ‘접종예약 준비 중입니다. 잠시 후 7월 19일 20시부터 예약이 시작됩니다’라는 안내문이 떠 있다. 일부는 접속 대기만 수십분이 걸리고, 사이트 접속이 아예 안 되는 경우도 있다. 예약 시작과 동시에 신청자가 한꺼번에 몰리면서 서버에 과부하가 걸린 것으로 추정된다.
추진단은 당초 오후 8시부터 53~54세(1967~1968년생) 모더나 백신 예방접종 사전예약을 시작하고, 기존 예약 대상자인 55~59세와 60세 이상 미예약자도 예약을 진행할 수 있다고 안내했었다. 앞서 질병청은 50대 연령층에 대한 접종을 준비하면서 55∼59세, 50∼54세 등으로 나눠 사전예약에 나설 계획이었지만 한 번에 많은 사람이 몰리면서 예약 일정을 세분화했다.
아울러 사이트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점검 차원에서 이날 낮 12시~오후 2시, 오후 6~8시 두 차례에 걸쳐 총 4시간 일시 중단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슷한 문제가 반복되면서 방역 당국의 시스템 관리 능력이 미숙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반면 이번에도 공식 루트가 아닌 비공식 통로를 통해 사전예약 시스템에 접속해 예약에 성공했다는 글이 온라인 곳곳에서 잇따라 올라왔다. 온라인 커뮤니티 ‘에펨코리아’엔 ‘또 K백신 대기열 뚫는 법 알아냈다’는 글이 올라왔다. 글쓴이는 ‘사전예약창에 들어간다. 대기열이 뜨면 비행기 모드를 실행한 뒤 3초 정도 (뒤에) 다시 해제한다. 새로 고침한다’고 썼다.
이는 질병청이 지난 14일 55~59세 대상 사전예약 당시 예약 페이지에 직결되는 링크를 열어 뒀던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당시 질병청은 이 링크를 열어 ‘뒷문 예약’ 논란이 일었었다. 사전예약 시스텝 접속 지연은 새로운 대상군이 예약을 시작할 때마다 반복되고 있다.
앞서 유치원·어린이집·초등학교 1∼2학년 교사와 돌봄 인력 대상의 접종 예약이 시작된 지난 8일 0시부터 2시간 넘게 전산 장애가 발생했고, 55∼59세 대상 예약이 처음 시작된 12일 0시부터도 수시간 동안 접속이 지연됐다.
정은경 질병청장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사전예약 준비 상황과 관련해 “그간 발생한 사전예약의 누리집 부하 발생 정도와 오류 상황에 대해서는 종합적으로 점검하고 계속 보완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