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청 “민주노총 집회 통한 감염, 잠복기 배제 못해”

입력 2021-07-18 14:53
지난 3일 서울 종로3가에서 민주노총 조합원들이 노동법 전면 개정 등을 요구하며 도로를 점거한 채 전국노동자대회를 열고 있다. 연합

방역당국은 지난 3일 민주노총이 개최한 서울 도심 집회 참가자 중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것과 관련해 감염원에 대한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두고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질병관리청은 18일 참고자료를 내고 “현재 (민주노총 관련 확진자들의) 감염 경로를 조사 중이며 아직 감염원을 확인하지는 못했다”면서 “집회 또는 집회 이외의 공통 폭로(노출) 가능성도 열어두고 조사하고 있다”고 전했다.

질병청은 지난 16일 이후 확진된 환자 3명과 관련해선 “집회와 관련해서 현재까지 확인된 사항을 보면 확진자 3명은 이달 3일 집회에 참석했고, 증상 발생일은 14~16일”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집회를 통한 감염 가능성은 증상 발생일을 고려할 때 높지는 않으나 최장 잠복기 즉, 14일 범위 이내에 있어 (집회를 통한 감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집회 참가자 가운데 현재까지 3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이에 질병청은 집회에 참석한 민주노총 관계자를 대상으로 검사를 받으라는 행정명령을 발령했다.

민주노총 측은 현재 확진자들과 집회 참석 간 명확한 연관성이 확인되지 않았다며 부당한 비방을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

민주노총은 “중대본 역학조사 결과가 발표되기도 전에 일반적인 잠복기를 경과하는 시점에서 나온 결과를 가지고 마치 7·3 대회가 (코로나19) 주요 감염원이라는 인식을 심어주기에 충분한 발표는 부적절하다”고 비판했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