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임 대통령들과 비교해 나쁘지 않은 성적표
코로나19 대응 지지만 월등히 높아 ‘딜레마’
코로나 다시 확산…지지도 추락할 수도
코로나 이슈 사라지면, 새로운 정치적 시험대
경제·외교정책도 ‘무난’…이민정책 ‘낙제점’
오는 20일이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취임한 지 6개월이 된다.
현재까지 성적표는 무난하다. 로이터통신과 여론조사기관 입소스가 지난 14∼15일 미국 성인 100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바이든 대통령의 국정수행에 대한 지지도는 53%로 조사됐다. 바이든 대통령의 국정운영 방식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42%로 집계됐다.
전임 대통령들의 취임 6개월 당시 지지도와 비교해도 나쁘지 않다. 미국 여론조사분석기관 ‘파이브서티에잇(538)’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취임 6개월 때 지지도는 38.8%에 불과했다.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은 54.8,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은 51.9%,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이 45.7%를 각각 기록했다.
코로나 이슈 사라질 경우 새로운 시험대
그러나 바이든 대통령에게도 고민이 있다. 코로나19 대응에 대한 지지도만 월등하게 높다는 점이다. 워싱턴포스트(WP)는 “코로나19 대응에 대한 기대가 바이든을 백악관으로 이끌었으며, 집권 6개월 동안 미국인들은 바이든의 코로나19 대응에 높은 점수를 줬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바이든 대통령 입장에서 코로나19의 성공적인 대응은 ‘양날의 칼’이다.
지금 미국에선 ‘델타 변이’의 확산과 정체된 백신 접종률로 인해 코로나19 확진자 숫자가 다시 증가 추세로 돌아섰다. 로셸 월렌스키 질병통제예방센터(CDC) 국장은 “백신 접종률이 낮은 지역에서 대규모 발병을 보고 있다”고 밝혔다.
코로나19가 미국에서 걷잡을 수 없이 재확산된다면 바이든 대통령의 지지도가 곤두박질을 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반면, 코로나19를 성공적으로 대처했다고 가정할 경우 바이든 대통령은 정치적으로 완전히 새로운 시험대에 설 것으로 예상된다.
WP는 “민주당과 공화당의 전략가들은 국내 정치 뉴스를 지배했던 코로나19 이슈가 서서히 사라지기 시작했다고 믿는다”면서 “코로나19 상황이 호전될 경우 2022년 중간선거가 다가오면서 이민과 국경 안전 문제 등을 놓고 치열한 토론이 벌어질 것”이라고 지난 4일 전망했다. 그러면서 WP는 “이들 이슈는 바이든에게 유리하지 않다”고 분석했다.
바이든 대통령으로선 당연히 코로나19 종식을 위해 총력을 다하겠지만, ‘포스트 코로나’ 정치상황이 펼쳐지면 고전을 겪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것이다.
불법 이민 늘어…‘낙제점’ 이민정책
바이든 대통령의 5월 이후 국정수행 지지도는 여론조사 기관에 따라 50∼56%를 오르락내리락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정치전문매체 ‘리얼클리어 폴리틱스’는 바이든 대통령의 16일 현재 평균 지지율을 52.1%라고 밝혔다. 지지하지 않는 비율은 43.3%다.
바이든 대통령의 지지도를 분야별로 요약하면, 코로나19 대응은 ‘에이 플러스(A+)’이고, 이민정책은 낙제점은 가깝다. 경제정책과 외교정책 지지도는 매우 높은 것은 아니지만, 무난하다.
WP와 ABC방송이 지난 6월 27∼30일 미국 성인 90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코로나19에 대한 바이든 대통령의 지지도는 62%를 기록했다. ‘지지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지지층의 정확히 절반인 31%로 조사됐다.
백신을 조기에 대량 확보하고, 접종에 속도전을 펼친 것이 높은 점수를 받은 요인이다. 또 전임 트럼프 전 대통령과 달리 보건 전문가들의 조언을 수용하면서 일관성 있고, 신뢰감 있는 메시지를 보낸 것도 주효했다는 평가다.
하지만 이민정책은 바이든 대통령의 아킬레스건이다. WP와 ABC방송의 같은 여론조사에서 바이든 이민정책에 대한 지지는 33%에 불과했다. 반면, 반대는 51%로 조사됐다.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 초기, 트럼프 전 대통령의 초강경 이민정책을 줄줄이 폐기하며 포용정책을 구사했다. 하지만 결과는 밀입국자의 증가로 나타났다. 공화당은 바이든의 이민정책을 내년 중간선거에서 물고 늘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경제·외교정책에 대한 성적표도 ‘무난’
경제정책에 대한 성적표도 좋은 편이다. 이코노미스트와 여론조사기관 유고브가 지난 10∼13일 미국 성인 1292명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바이든 대통령의 경제정책에 대한 지지는 48%로 나타났다. ‘지지하지 않는다’는 44%였다.
경제정책에 대한 평가는 여론조사기관에 따라 편차가 심하다. 하버드대와 해리스가 지난 6월 15∼17일 공동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는 바이든 경제정책에 대한 지지가 61%로 조사됐다. 반대는 39%였다.
그러나 폴리티코와 모닝컨설트가 지난 6월 11∼13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는 바이든 경제정책에 대한 지지가 47%였고, 반대가 54%로 더 높았다. 다만, 바이든 대통령 취임 이후 실시된 여론조사에서 경제정책을 놓고 반대가 더 높았던 것은 이 폴리티코·모닝컨설트 여론조사가 유일했다.
바이든 대통령이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천문학적 재정을 투입하고 경제지표가 호전되면서 바이든 경제정책에 대한 지지가 높은 것이 여론조사의 일반적인 추세다.
바이든의 외교정책에 대해서도 미국인들은 신뢰를 보내는 것으로 평가된다. 트럼프식의 일방주의 외교를 버리고 동맹 강화로 되돌아 온 것이 호평을 받은 요인으로 분석된다.
지난 5월 이후 실시된 미국의 14개 여론조사를 분석했을 때 바이든 외교정책에 대한 지지는 39%∼59%를 기록했다. 12개의 여론조사에서 외교정책에 대한 지지가 반대보다 높았고, 2개의 여론조사에서만 반대가 지지보다 많았다.
워싱턴=하윤해 특파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