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경제 회복하면 금리도 올려야”…연내 금리 인상 시사

입력 2021-07-16 15:11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뉴시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연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 총재는 1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긴급현안질의에 출석해 “코로나19 재확산 때문에 지켜볼 필요가 있지만 경기가 회복세, 정상화 과정을 밟아간다면 금리도 정상화로 가야 한다. 늦으면 늦을수록 더 많은 대가를 치른다”고 말했다.

이 같은 발언은 추경호 국민의힘 의원이 “기준금리 인상을 할 때가 됐다고 보는 것이냐”고 묻자 답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이 총재는 “지금의 금리수준은 이례적으로 낮춘 것”이라며 “1년 반 전 금융시장이 좋지 않을 때 과도하게 낮췄기 때문에 경제가 정상화된다면 금리도 정상화돼야 한다. 이는 우리 경제 발전을 위해서도 거쳐야 할 과정이라는 시각을 가지고 있다”고 답했다.

이 총재는 “한 두달 전에 (금리 인상) 시작을 연내에는 할 수 있겠다고 말했는데 코로나19가 재확산되면서 좀 더 지켜봐야겠으나 너무 서둘러서도 곤란하고 늦어져서도 안 된다”며 “연내에는 해 볼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해 본다”고 부연했다.

이어 “경제 주체들이 수익 추구 행위, 레버리지가 과도하게 더 진전되면서 언젠가 조정을 거치고 경제에 타격을 줄 것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다”며 “적어도 많은 사람들이 지나치게 낮은 금리가 오래 간다고 생각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또 그는 최근 부동산 가격 급등과 관련 “사람들이 원하는 지역에 공급이 충분했는지는 생각해봐야 한다”면서도 “코로나19 이후 저금리가 장기화하고, 저금리가 앞으로도 지속할 것이란 기대감이 자산시장으로 자금이 쏠리는 결과를 낳았다”고 분석했다.

이 총재는 전국민 재난지원금 지급에 반대하는 입장을 내비쳤다. 재난지원금 대상을 전 국민이 아닌 피해 계층으로 설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재정 효율성 측면에서 보면 피해 계층을 중심으로 지원해야 한다”며 “코로나19가 1년 반 동안 지속되면서 피해 계층도 많지만, 오히려 부를 쌓은 계층도 있으니 이를 고려해야 한다. 코로나19가 장기화 된다면 얼마나 많은 재원이 더 소요될지 알 수 없다”고 덧붙였다.

한다녕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