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델타변이 대신 ‘B.1.617.2 변종’으로 부른다”는 美델타항공

입력 2021-07-16 11:37
2016년 10월 13일 미국 애틀랜타 국제공항에 델타항공사 간판이 설치돼 있는 모습. AP. 뉴시스

미국 델타항공이 최근 급격히 확산 중인 코로나19 델타 변이와 이름이 같아 곤란을 겪고 있다. 혹시라도 델타 변이 확산이 기업 이미지에 타격을 줄까 우려하는 것이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5일(현지시간) “델타항공이 전염성 높은 변종 바이러스와 이름이 같은 불행을 겪고 있다”며 항공사 내부 사정을 전했다.

에드 바스티안 델타항공 최고경영자(CEO)는 WSJ에 “우리는 그것을 그저 변종이라고 부른다”고 말했다. 헨리 팅 최고보건책임자(CHO)는 지난달 SNS에 “우리는 ‘B.1.617.2 변이’(델타 변이의 공식 명칭)이라고 부르는 것을 선호한다. 왜냐하면 그것이 말하고 기억하기에 훨씬 더 간편하기 때문”이라고 글을 올렸다.

델타항공의 사명(社名)은 회사가 시작된 미시시피주 델타 지역의 이름을 따 지어졌다. WHO는 특정 지역이나 인종에 낙인을 찍을 수 있는 지명 대신 그리스 알파벳을 이용해 변이 바이러스를 명명하고 있다.

코로나는 선인장의 용설란을 발효시켜 제조한 멕시코의 대표 맥주로 라임이나 레몬 조각을 병 입구에 끼워 마시는 음용법으로 유명하다. 사진은 2012년 8월 5일 해운대. 코로나 제공. 뉴시스

WSJ는 비슷한 곤란을 겪고 있는 사례로 컨스텔레이션 브랜즈사(社)를 소개했다. 이 회사는 이름이 ‘코로나’인 맥주를 제조해 코로나19 유행 초기 매출 하락을 크게 우려했다. 그러나 판매량은 다행히 줄어들지 않았다.

안명진 기자 a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