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예약, 이번엔 ‘뒷문’ 논란…링크 우회 접속도 인정

입력 2021-07-16 07:51
지난 14일 코로나19 백신 접종 예약 시스템 메인 페이지의 모습. 오후 8시 이전에는 "준비 중"이라는 문구가 떴으나 일부는 링크 우회접속을 통해 사전예약을 마쳤다. 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만 55∼59세 대상 코로나19 백신 접종 사전예약이 접속 장애에 이어 ‘뒷문’ 논란에 휩싸였다. 사전예약 재개 시점인 지난 14일 오후 8시 이전에는 대다수가 시스템에 접근할 수 없었지만 특정 링크를 통해 우회 접속한 이들은 별 탈 없이 예약을 마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방역당국은 이같은 우회접속을 통한 사전예약도 ‘정상적인 예약’으로 인정한다는 방침이다.

16일 에펨코리아 등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지난 14일 사전예약 시작 당시 오후 7시30분쯤부터 백신 예약을 마쳤다고 쓴 인증 글들이 올라와 있다. 이들은 접종 시스템 대신 별도의 링크를 공유하며 “이 링크를 눌러서 들어가면 당장 예약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실제 이런 방법으로 다수가 사전예약에 성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 시스템 홈페이지의 ‘예약 단계’로 곧장 연결돼 가능했던 것이다.

문제는 같은 시간대 일반적인 접속 방법으로는 사전예약이 불가했다는 점이다. 예약 개시 시간인 오후 8시 전에 접종 시스템 홈페이지에는 ‘코로나19 접종예약 준비 중입니다. 잠시 후 7월 14일 20시부터 예약이 시작됩니다’라는 문구가 떴다. 당연히 사전예약도 할 수 없었다.

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이를 두고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우회 접속 방법을 몰랐던 이들은 오후 8시 이후 예약 대상자들이 한꺼번에 몰리면서 몇 시간씩 대기해야 했다. 또 우회 접속을 통한 예약은 지난 12일 최초 사전예약 당시에도 유효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은 시스템 우회 접속을 통한 접종 예약이 가능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접종 시스템 메인 페이지만 접속을 막아둬 링크를 이용한 접속이 가능했다는 것이다. 아울러 오후 8시 이전에 접속해 예약한 사례도 정상 예약으로 인정하기로 했다.

이는 추진단이 사전예약 개시 시점 이전에 우회 접속을 통한 예약 사례를 인정해주지 않으면 이를 가능토록 조치한 추진단이 되레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정상 참작하기로 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추진단은 “예약은 선착순 개념이 아니고 접종 예약을 우선적으로 진행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이득이 그렇게 크지 않다고 판단하고 있다”며 “이런 식으로 예약이 된 경우도 일단 유효한 것으로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박구인 기자 capta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