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단됐던 만 55~59세 대상 사전예약이 14일 재개되면서 정부가 코로나19 백신 접종 연령층 확대에 따라 직장인을 위한 ‘퇴근 후 접종’ 방안을 마련한다고 밝혔다. 이를 놓고 의료 인력에 또 다른 부담을 주는 방식으로 이뤄져서는 안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은경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응추진단장(질병관리청장)은 14일 브리핑에서 “의료계와 지방자치단체와 협의해 오후 6시 이후에 접종이 필요한 직장인을 위한 보완 방안을 마련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직장인들의 백신 접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퇴근 후 시간대에 접종이 가능하게 하겠다는 취지다. 그러나 백신 접종을 할 현장 의료 인력을 어떻게 할 지 부분은 조율이 안된 상태여서 가능 여부는 확정되지 않았다.
정 단장도 “위탁의료기관이나 예방접종 센터의 접종 시간이나 인력 동원 부분을 단독으로 결정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의협·병협, 의료기관과의 협의를 진행하겠다”고 설명했다.
다만 방역당국의 이 같은 방침이 또 한번 의료계에 부담을 주는 것 아니냐는 비판 여론이 쏟아지고 있다.
직장인이 백신을 접종할 때 휴가를 쓰거나 출퇴근 시간을 조정하도록 하는 게 합리적이지, 보건직 공무원 등의 부담을 더 가중시켜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다.
직장인 A씨는 “정부가 나서서 기업들 백신 휴가를 밀어주든가 재택 의무화를 시켜야 한다”며 “(퇴근 후 접종 방안은) 회사에서 백신 휴가 안 줄 수 있는 명분이나 주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의료기관 종사자 B씨는 “부산에서 보건직 공무원이 극단적 선택을 한 사건이 벌어진 지 두 달도 되지 않았는데 벌써 잊은 건가 싶다”며 답답함을 토로했다.
누리꾼들은 “출퇴근 시간을 한두 시간만이라도 조정하면 되는 것 아니냐” “의료진들 처우 개선은 코로나 초반부터 얘기 나왔는데 크게 바뀐 게 없는 것 같다” “이건 선 통보 후 협의 아니냐” 등의 반응을 보였다.
이예솔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