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의 대선주자인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이 장관 재임 당시 문재인 대통령이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징계 처분을 재가하며 “이것이 민주주의다”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추 전 장관은 15일 MBC 라디오에서 “윤 전 총장에 대한 법무부 징계의결서가 무려 100쪽이 넘는다. 그걸 어떻게 없던 걸로 하겠는가”라며 “더군다나 대통령이 그걸 다 보시고 ‘기가 차다’ 하시고 재가하신 것”이라고 했다.
진행자가 “대통령이 ‘기가 차다’라는 엄명이 있었느냐”고 되묻자 추 전 장관은 “기가 차다, 딱 그런 표현은 안 했지만, 대단히 심각하게 받아들이셨다”고 설명했다. 이어 “‘민주주의 제도 아래서 민주적 통제를 하는 장관이 잘한 것이다’하고 재가를 해주셨고, 또 ‘이것이 민주주의다’라는 말씀을 하셨다”고 전했다.
추 전 장관은 윤 전 총장이 ‘추미애 장관과 함께 물러나면 징계는 없는 것으로 하겠다며 문재인 정부가 사퇴를 압박했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그는 “(문 대통령의 당시 발언을 보면) 앞뒤가 맞지 않는다”며 “윤 전 총장은 핍박받았다, 청와대가 사퇴를 종용했다는 식으로 대통령을 끌어들이는 피해자 코스프레를 계속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추 전 장관은 윤 전 총장의 지지율이 하락한 것에 대해서는 “꿩이 추락하고 있는 게 보이지 않느냐. 그래서 저의 비상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추 전 장관은 국민의힘에 입당한 최재형 전 감사원장에 대해서는 “그냥 공직자라는 느낌이었다. 유연성이나 설득은 기대가 잘 안 되는 고집이 있고 꼿꼿한 분으로 보였다”며 “미래 세대를 맡기고 현재를 이끌어가라 하기엔 부적격”이라고 평가했다.
추 전 장관은 민주당 본경선 경쟁자인 이낙연 전 대표를 향해서도 날을 세웠다. 그는 “당이 (검찰개혁) 입법 발의를 하겠다고 하고, 그걸 제가 믿고 후임 장관한테 기대하면서 물러났던 것인데 당이 약속한 것을 하지 않았다”면서 “가장 큰 책임자가 (이낙연 전) 당 대표지, 누구 소속 의원들한테 책임을 전가할 수 없지 않겠나”라고 꼬집었다.
박재현 기자 jhyun@kmib.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