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두기 4단계에…“자영업자가 죄인이냐” 시위 확산

입력 2021-07-14 19:23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 첫날인 12일 서울 종로구 한 음식점에 오후 6시 이후 3인이상 모임 금지 안내문이 붙어 있다. 뉴시스

수도권의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 시행에 자영업자들이 더 이상 버티기 힘들다며 거리 시위에 나섰다. 경찰은 신고되지 않은 불법시위에 엄정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오프라인 외에도 SNS를 중심으로 온라인 시위가 열렸고 ‘자영업자들이 노예냐’는 청원도 등장했다.

망연자실한 자영업자 거리로 나와 시위
중소상공인·자영업자비상행동연대 한지엽 대표가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코로나19 4차 대유행 방역실패 규탄 및 피해보상위원회 즉각 구성 촉구와 2차 추경에 소급적용 예산 개편을 촉구하며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시스

한국외식업중앙회(중앙회)는 14일 오전 11시부터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1인 릴레이 시위’에 들어갔다. 오는 22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며, 하루에 1시간씩 교대로 4명이 참가할 예정이다.

중앙회 관계자는 “지난해 8월부터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자영업자들이 전례 없는 경영위기로 생업을 포기해야 하는 지경에 이르고 있다”며 “이런 와중에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 시행 등으로 희망이라곤 없는 상황으로 몰리고 있다”고 호소했다.

이날 밤엔 차량시위도 진행될 예정이다. 코로나19 대응 전국자영업자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오후 11시 서울 여의도 국회 인근에서 기자회견을 연 뒤 광화문과 서울시청 구간에서 대규모 1인 차량시위를 벌일 것”이라고 밝혔다.

비대위 추산으로 최소 500여대, 최대 800여대의 차량이 피켓을 설치하고 비상등을 켠 채로 서울 도심을 순회할 계획이다.

이들은 “자영업자만 희생시키는 방역조치에 불복을 선언한다”며 집회 배경을 전했다.

비대위는 경찰과 시위를 위한 협의를 마쳤다고 전했다. 비대위 관계자는 “서울 도심 일선서의 교통 및 시위 담당 경찰관들과 직접 소통하면서 시위 형태, 차량 동선 등에 대해 협의했다”며 “혹시 모를 안전사고에 대비해 안전요원 40명, 지휘 차량 등도 시위에 동원할 예정인데 이에 대해서도 경찰 측의 협조를 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서울경찰청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자영업자 단체의 불법 차량시위를 엄정하게 처벌하겠다”고 밝혔다. 방역당국에 협조를 구해 차량 집결지를 차단하고 도심권 및 여의도에서 검문소를 운영해 시위 차량을 회차시키겠다는 계획이다.

경찰 관계자는 “집회주최자와 참가자에 대해서 감염병예방법·집회시위에 관한 금지 법률·도로교통법 위반을 적용해 사법처리하고 경력 폭행과 같은 묵과할 수 없는 불법행위에도 강력히 대처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SNS에서도 ‘자영업자는 죄인이 아닙니다’ 외쳐
트위터 캡처

상황이 이렇다 보니 온라인에서 시위를 하는 자영업자들도 나타났다.

지난 11일부터 ‘자영업자는 죄인이 아닙니다’라는 문구를 종이에 작성해 들고 있는 사진이 SNS에 속속 올라오고 있다. 이들은 본인이 운영하는 식당, 카페 등 매장 내에서 마스크를 쓴 채 해당 문구를 들고 ‘온라인 시위’를 펼치며 해당 문구의 인증 사진과 함께 ‘살고 싶다’와 같은 문구도 게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온라인 시위는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교육 사업을 하는 A씨가 시작했다. 이후 자영업자들이 자발적으로 ‘온라인 1인 시위’에 동참하는 모양새다.

거리두기 4단계에 ‘자영업자는 노예냐’는 청원 등장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 캡처

상황이 나아질 조짐이 보이지 않자 지난 12일 ‘자영업자는 K방역을 위한 노예인가요? 제대로 된 손실보상도 없이 강제규제만 하는 고혈을 쥐어짜는 정책을 어떻게 따르나요?’라는 글이 청와대 국민청원에 올라왔다.

청원글을 쓴 이는 “공익을 위한 K방역은 자영업자에 대한 규제만 있다”며 “이전 거리두기 최고단계인 거리두기 3단계에는 대기업, 대형마트, 중소기업도 규제대상이었지만 이번에 싹 빠졌다. 대형마트는 특별연장까지 한다”고 말했다.

이어 “대출도 안 되고 수익도 없어 매장유지를 위해 집도 팔고 차도 팔고 가진 것 모두 팔고있다”며 “그런데 또 문 닫으라고 규제한다고 한다. 자영업자보다 무시당하는 사람 이젠 대한민국에 없다”고 한탄했다.

해당 청원에는 14일 오후 1시30분 현재 1200명이 동의했다.

한다녕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