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방역 책임론에 반박…김도식 “책임전가 중단하라”

입력 2021-07-14 11:16 수정 2021-07-14 15:17
김도식 서울시 정무부시장이 29일 서울시의회에서 열린 제301회 정례회 제2차 본회의 시정질문에서 더불어민주당 서윤기 서울시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

김도식 서울시 정무부시장이 일각에서 서울시에 대한 방역책임론을 제기하는 것에 대해 “(문재인) 대통령이 무지와 무능도 모자라 긴장의 끈마저 놓았을 때 대유행이 반복된 게 사실 아니냐”고 주장했다. 다만 곳곳에서 발언을 두고 논란이 커지자 “사견이었다”고 밝혔다.

김 부시장은 14일 ‘책임전가 중단하고 책임방역에 힘 모아야 할 때’라는 제목의 입장문을 내고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켜야 할 대통령께서는 우리 국민의 자발적이고 수준 높은 시민정신 덕분에 가능했던 ‘K방역’을 정권의 치적으로 자화자찬하다가 4차 대유행에는 ‘모두의 책임’으로 과오를 나누고 있어 안타깝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각종 언론 보도를 종합하면 질병관리청장을 비롯한 전문가들은 성급하게 방역을 풀면 안 된다고 경고했는데 청와대와 정부가 이 말을 듣지 않았다고 말한다”며 “청와대와 정부가 과학 방역이 아니라 내년 선거를 앞두고 경기부양을 내세운 정치방역을 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김어준의 뉴스공장' 홈페이지 캡처

김 부시장은 “최근 정부·여당 관계자들이 일제히 4차 대유행에 대한 서울시 방역책임론을 들고 나왔다”며 “오세훈 시장에게 어김없이 책임전가의 좌표를 찍고 있는 방송인 김어준씨는 사회적 공기(公器)인 공영방송을 사회적 흉기로 사용함으로써 민주주의의 근간인 언론의 사회적 책임을 방기하는 반언론 행위마저 자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김씨는 전날 자신이 진행하는 TBS ‘김어준의 뉴스공장’에서 “서울 지자체 정부의 오세훈 시장에게도 그 책임을 물어야 하는 것 아닌가. 취임 초부터 정부 방역이 잘못됐다며 방역 완화 메시지를 내놓고, 지난 6월 24일에는 서울시 전담 역학조사TF를 해체시켰다”고 비판한 바 있다.

김 부시장은 “여러 언론을 통해 팩트가 아니라고 검증된 일방적 주장을 고의로 확대재생산하고 있다. 언론 및 언론인 윤리의 최저선마저 파괴한 이런 편향은 즉각 사라져야 한다”며 “편향을 넘어 가짜뉴스를 재생산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반드시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14일 오전 서울 강남구 보건소 선별진료소에서 시민들이 코로나19 선별 검사를 받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 연합

이어 “코로나19 대유행의 책임을 전가하시는 분들께 한 말씀 드린다”며 “방역 실패의 책임을 서울시장에게 떠넘기는 것은 대통령을 지키는 게 아니라 여러분 스스로 더 이상 대통령을 신뢰하지 못하고 있다는 고백으로 들린다”고 비꼬았다.

그러면서 문재인 대통령을 향해 “유언비어를 유포하는 강성 지지자들을 자중시키는 말씀과 중단된 백신 수습 대혼란과 관련한 말씀을 ‘굵고 짧게’ 하실 때”라고 촉구했다.

김 부시장은 “물론 서울시는 시민의 생명과 안전 문제에 관해서라면 무한한 책임의식을 갖고 있다”며 “아무리 최선을 다해도 시민 눈높이에 모자란 점이 많을 것이다. 사실과 증거에 기반한 비판이라면 언제든 최대한 수용하고 고치겠다”고 말했다.

그는 “서울시민이 코로나19로부터 해방돼 일상을 회복하는 그날까지 서울시 공무원들은 견마지로일지언정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김도식 “사견임을 전제한 것” 해명
14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1 서울커피엑스포 안내데스크에 관계자들이 안내를 하고 있다. 한편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또다시 코로나19 발생 이래 최다 확진자를 기록,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오늘(14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가 1,615명이라고 밝혔다. 뉴시스

다만 서울시의 확진자가 638명에 달하는 등 방역 상황이 시급한 가운데 중앙정부와의 책임론 공방이 부적절하다는 비판이 나오자, 김 부시장은 추가 입장을 내고 “서울시 입장이 아닌 개인적인 입장”이었다고 해명했다.

그는 “서울시 책임론이 커지고 있어 뭔가 의견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며 “사견임을 전제하고 그래서 이름도 적은건데 다소 센 발언도 있어 시장님 스탠스에 부담을 준 측면이 있는 것 같다”고 전했다. 앞서 김 부시장은 ‘서울시 정무부시장 김도식’ 명의로 입장문을 내놓았다.

김 부시장은 “시 내부의 정리된 입장이 아닌 개인적 의견임을 감안해 달라”고 재차 강조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