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기모란, 방역 컨트롤타워 아냐…4차 대유행 예견했다”

입력 2021-07-14 09:03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 연합뉴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14일 코로나19 델타 변이 바이러스 확산으로 4차 대유행이 본격화되는 상황에서 기모란 청와대 방역기획관의 역할론을 지적하는 야권 일각의 공세에 대해 “동의할 수 없다”고 밝혔다.

기 기획관이 방역 컨트롤타워가 아닌, 방역당국과 청와대를 연결하는 가교역할을 담당하고 있기에 기 기획관에게만 책임을 묻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박 수석은 정부가 4차 대유행을 예견했지만 경제 활성화와 균형을 맞추다보니 확진자 폭증 사태가 벌어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수석은 이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기 기획관은 방역을 컨트롤하는 각 정부의 기구(복지부·중대본·방대본)들과 청와대의 가교 역할을 충실히 하며 청와대가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도록 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야당은 기 기획관이 방역 정책을 총괄하고 있는 만큼 4차 대유행의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보다 기 기획관의 영향력이 더 크다는 지적도 나왔는데, 청와대가 이를 부인한 것이다.

기모란 청와대 방역기획관. 연합뉴스

박 수석은 “방역의 기획과 집행은 청와대가 위에서 시키는 시스템이 아니다. 방역 전문가 의견을 가장 우선시해서 듣고 있다. 청와대와 방역당국의 갈등이나 이견 등은 전혀 없다”고 해명했다.

박 수석은 청와대가 4차 대유행을 조짐을 파악하고 있었다고 강조했다. 박 수석은 ‘상황 파악이 잘 안된 것 아니냐. 기 기획관의 판단이 틀린 것 아니냐’는 사회자의 질문에 “상황 파악이 안 됐다는 말에 동의할 수 없다. 충분하게 걱정도 했고 다른 나라들의 상황을 보면서 걱정을 많이 했다”고 했다.

박 수석은 ‘이런 상황도 예견됐고, 기 기획관도 미리 보고를 했느냐’는 질문에 “네”라고 답했다. 또 야당 일각의 기 기획관 경질 요구에 대해서는 “지금은 국민과 함께 새로운 위기를 극복해 나가는 것이 우선”이라고 일축했다. 기 기획관에게 책임을 묻지 않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문재인 대통령과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 연합뉴스

한편 박 수석은 도쿄올림픽 기간 문재인 대통령의 방일 여부와 관련해선 “아무것도 결정된 것이 없다”고 했다. 박 수석은 “한·일 정상회담이 이뤄지고 양국 국민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실질적 성과가 있기를 희망한다. 그러한 합의에 이르지 못한다면 끝까지 저희 입장을 고수하며 일본에 태도 변화를 촉구할 것”이라고 했다.

우리 정부는 이번 한·일 정상회담이 성사된다면 후쿠시마 오염수 방출 문제, 위안부·강제징용 판결 등 과거사 문제, 수출규제 문제 해결을 위한 실마리를 마련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일본이 이에 동의하지 않고 형식적인 회담을 고집한다면 문 대통령이 일본을 방문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