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한·미연합훈련도 모의훈련 가닥…4년째 시뮬레이션만

입력 2021-07-13 16:48
2017년 4월 열린 한미 통합화력 격멸훈련 모습. 훈련에는 8개 부대 2000여명의 한미 장병들과 K2 전차, K21 장갑차, 아파치 헬기, F-15K 전투기, 다련장 로켓(MLRS) 등 우리 군 전력과 주한미군의 브래들리 장갑차, 아파치 헬기, A-10 공격기 등이 참가했다. 뉴시스

한·미 양국이 한 달 뒤 실시하는 하반기 연합훈련이 이번에도 모의훈련으로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국방부는 훈련 규모와 방식에 대해 말을 아끼고 있지만 대북 관계와 코로나19 확산 상황 등을 고려할 때 문재인정부 임기 내 대규모 실기동 훈련은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군 소식통은 13일 “8월 한·미연합훈련은 야외 기동훈련 없이 대폭 축소된 규모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훈련 시작일은 다음 달 16일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미 연합지휘소훈련(CCPT)으로 이름을 바꾼 뒤 매년 두 차례 열리는 연합훈련은 코로나19로 인해 지난해 3월엔 취소됐고, 이후부터는 축소 진행됐다. 대규모 병력이 동원되는 실기동 훈련은 남북정상회담이 열렸던 2018년을 포함해 4년째 열리지 않았다.

이는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끌어내기 위해선 자극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판단 때문으로 해석된다. 정부·여당에서도 꾸준히 훈련 중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5월 “과거처럼 많은 병력이 대면 훈련을 하는 것은 여건상 어렵다”고 말한 바 있다.

군내 확산하고 있는 코로나19 역시 고려사항이다. 한·미 장병들의 백신 접종이 원활히 이뤄지고는 있지만 우리 군은 물론 주한미군 내에서도 확진자가 연일 늘어나는 추세다.

폴 러캐머라 한미연합사령관이 13일 오후 서울 용산구 합동참모본부를 방문, 원인철 합참의장과 접견 장소로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그럼에도 미국 측에선 이달 초 취임한 폴 라캐머러 한·미연합사령관 겸 주한미군사령관을 중심으로 실기동 훈련을 통한 방위태세 유지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라캐머러 사령관은 이날 국방부를 처음 방문해 서욱 장관과 원인철 합동참모본부 의장을 예방했다.

국방부는 “다양한 제반 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훈련 시기와 규모를 미국과 긴밀히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