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13일 택시기사를 폭행한 혐의로 수사를 받다 물러난 이용구 법무부 차관 후임에 강성국 법무부 법무실장을 임명했다. 강 실장은 판사 출신으로 법무부의 ‘탈검찰화’ 기조가 이어진 것으로 해석된다. 또 임기 말 안정적인 부처 운영을 위해 법무부 내부 인사를 승진 발탁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은 “강 신임 차관은 서울중앙지방법원 부장판사를 역임한 법관 출신으로, 2020년 7월부터 법무부 법무실장으로 재직해왔다”며 “법무부 업무 전반에 대한 높은 이해도와 탁월한 법률 전문성을 바탕으로 법무·검찰 개혁, 여성·아동 범죄정책 등 법무부 당면 과제를 차질없이 적극 추진해 나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임명 배경을 밝혔다.
전남 목포 출신인 강 차관은 목포고와 고려대 법학과를 졸업했다. 강 차관은 1994년 광주지방법원에서 판사 업무를 시작했고 이후 대법원 재판연구관과 서울중앙지법 부장판사 등 21년 동안 판사로 재직했다.
강 차관은 판사 퇴직 이후 변호사 활동 중에 지난해 7월 법무부의 외부인사 기용 기준에 따라 법무실장에 임용됐다. 앞서 법무부는 지난해 12월 비검찰 인사로는 1960년 이후 처음으로 법관 출신인 이 전 차관을 임명한 바 있다.
청와대는 금융감독원장, 감사원장, 해수부 장관 등 남은 공직 후보자도 계속 검증하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검증에는 통상 1~2달이 걸린다. 좋은 후보자를 찾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야권을 중심으로 김외숙 인사수석을 공격하는 목소리가 나오는 가운데 청와대는 최대한 신중하게 남은 인사를 처리하겠다는 방침이다.
청와대는 각각 부동산 투기 논란과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에 대한 불법 출국금지 조처 과정을 주도한 의혹으로 기소된 김기표 전 반부패비서관, 이광철 전 민정비서관 후임도 찾고 있다. 김 전 비서관 후임에는 검찰 출신 인사가 고려되고 있지만, 최종 후보자를 찾는 데 난항을 겪고 있다고 한다. 이 전 비서관 후임에는 민정수석실 내부 인사 승진 가능성이 나오고 있다. 문 대통령 임기 말을 맞아 업무의 연속성을 위한 인사로 해석된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