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성동구가 올해 전국 지방자치단체 일자리 대상에 선정되며 ‘서울시 최초 7년 연속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재선인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민선 6기 4년에 이어 민선 7기에도 3년 연속 일자리대상을 수상하며 ‘일자리 구청장’으로서 입지를 다졌다.
전국 지방자치단체 일자리대상은 고용노동부 주최 전국 243개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일자리 정책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우수 자치단체를 선정하여 시상한다. 이번 평가에서 성동구는 ‘우수상’을 수상하며 7000만원의 인센티브 사업비도 확보했다.
성동구는 지난해 일자리 종합대책을 통해 1만349개의 일자리를 창출해 목표했던 7500개 일자리를 138% 초과 달성했다. 특히 성수동 소셜벤처 생태계 조성 프로젝트, 지역산업 특성 반영 맞춤형 청년 일자리사업, 성수수제화 진흥 특화사업, ‘젠트리피케이션 No, 코로나19 Out: 성동안심상가 운영’, 취약계층을 위한 사회서비스 일자리 확대 등 굵직굵직한 일자리 관련 사업을 잇따라 추진하며 타 자치구와 차별화된 우수 정책으로 호평을 받았다.
지난해에는 ‘성동 임팩트 펀드’ 20억원 조성, 창업발전소를 통한 민간투자 유치 역량강화, 혁신경연대회를 통한 사업개발비 지원, 안심상가 운영을 통한 업무공간 및 인력 지원, 엑스포를 통한 판로지원 등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성과를 동시에 창출하는 소셜벤처 기업 지원을 위한 전방위적 노력으로 지속가능한 사회혁신적 일자리의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다.
일자리 질 개선에서도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뤘다. 지난해 전국 최초로 ‘필수노동자 보호 및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공포하며 코로나19 위기 속에서 우리 사회의 정상적인 기능 유지를 위해 감염 위험을 무릅쓰고 대면 업무를 수행하는 노동자를 ‘필수노동자’로 명명했다. 이들에게 방역용품 제공 및 독감백신·심리상담 등 다양한 지원·보호 정책과 함께 ‘고맙습니다 필수노동자’ 캠페인을 전개해 지난 5월 ‘필수노동자 보호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지자체의 필수노동자 조례가 국회에서 법제화된 최초의 사례다.
성동구는 민선 7기 일자리대책 종합계획에 기반해 올해도 ‘구민이 행복한 일자리 7800개 창출’을 목표로 제시했다. 성동 혁신경제 기반을 마련하고 상생하는 일자리를 창출, 현장과 소통하는 맞춤형 취업 지원의 3대 핵심전략과 9대 추진과제, 160여개 세부 일자리 사업을 추진하며 일자리 포용 도시 성동을 실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정원오 구청장은 12일 “7년 연속 일자리대상을 수상하여 우리 구의 일자리 창출 노력과 성과를 높게 평가받고 널리 알릴 수 있어 매우 기쁘다”며 “코로나19로 인해 모두가 어려운 상황에서 지역 주민들에게 힘이 되는 일자리 대책 마련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다양한 일자리가 만들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재중 선임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