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대전의 일 평균 코로나19 확진자가 28명을 넘어서자 대전시 방역당국이 모임 인원을 4인까지 제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동한 대전시 보건복지국장은 11일 오전 대전시청에서 브리핑을 갖고 “수도권이 사회적 거리두기를 4단계로 격상하는 등 여러 요인이 있어 대전도 지금보다 더 강한 조치를 도입할 수 있다”고 밝혔다.
시 방역당국은 현재 8명까지 가능한 사적모임 인원을 4인 이하로 제한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모임 인원에서 백신접종자 제외’와 같은 백신 인센티브를 제재하기 위한 조치는 5개 자치구와 협의중이다. 제재 여부는 이번주 중 결정될 전망이다.
영업시간 제한은 강화하지 않고 당분간 현재 방식을 유지한다. 영업시간 제한에 따른 소상공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라고 시 방역당국은 설명했다.
현행 대전의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에 따르면 식당과 카페, 유흥시설, 노래연습장 등은 오후 11시부터 다음날 오전 5시까지 영업을 할 수 없다. 다만 식당과 카페는 이 시간 포장·배달이 허용된다.
이 국장은 “영업시간 제한을 고려했지만 임대료, 대출 등 소상공인들의 피해가 막대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사적모임 인원을 제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조치라고 판단했다”고 했다.
유흥시설 등에 대한 조치와 관련해서는 “현재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를 적용하고 있고, 방역수칙 위반이 적발되면 재난지원금을 지원하지 않는 방안도 시행하고 있다”며 “최대한 유지는 하되 강력하게 조치하는 것이 시의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이밖에 수도권 거리두기 강화에 따른 풍선효과가 발생할 수 있지만 영향은 그리 크지 않을 것이라고 시 방역당국은 내다봤다. 대전의 거리두기 단계가 높고 관광지·휴양지를 중심으로 인파가 몰릴 가능성이 높다는 이유에서다.
이 국장은 “관광지나 휴양지 감염이 늘어나는 것을 보면 풍선효과가 있다고 판단된다. 대전으로도 많이 빠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다만 대전은 거리두기 단계가 높아 타 지역보다 심할 것이라 보지 않고 있다. 충남 등 접경 지역에서도 단계를 높이는 만큼 우리도 수준에 맞출 것”이라고 했다.
지난달 6~12일 하루 평균 19.57명의 확진자가 발생한 대전은 같은달 13~19일 평균 14명, 20~26일 평균 22.2명이 코로나19 확진판정을 받았다. 지난달 27일~7월 3일까지는 하루 평균 22.71명이 확진됐으며 4~10일에는 28.14명으로 일평균 확진자 수가 급증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