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 수색 확대하는 경찰… 교육은 미비, 자격증은 ‘자비’로

입력 2021-07-11 14:57
서울경찰청 드론수색팀이 드론을 활용해 실종자 수색을 하고 있다. 사진은 기사 본문과 관련 없음. 서울경찰청 제공

최근 경찰은 드론으로 실종자 수색 작업을 펼치는가 하면 대테러 임무까지 수행하는 등 활용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경찰 내부에서도 드론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고, 조종자 자격증을 취득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그러나 아직 경찰 내에 아직 드론 조종 인력을 육성하는 전문교육기관이 별도로 마련되지는 않았다. 경찰들은 수백만원에 달하는 자격증 취득 비용을 사비로 충당하고 있다.

8일 서울경찰청 등에 따르면 올해 기준 경찰이 전국에 보유한 드론은 총 76대다. 전국 지방경찰청 17곳에 각각 4대씩 배치했고, 나머지 8대는 경찰청 본청에 교육용으로 배치했다. 지난해 6월 드론을 실종자나 자살·재난위험자 등을 수색하기 위해 38대를 도입한 이후 올해까지 드론의 수를 2배로 늘린 셈이다.

다만 경찰은 현재 실종된 아동 수색, 자살 의심자 발생, 재해·재난 및 테러 발생 우려가 있을 경우에만 한정적으로 드론을 사용하고 있다. 단순히 범죄자를 쫓기 위해 드론을 띄울 경우 일반인을 무작위로 찍을 수 있고 차량 정보 등의 개인정보가 수집될 수 있기 때문이다. 경찰은 향후 다양한 용도의 드론용 장비를 구매하고 수색용뿐 아니라 추적이나 구조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드론을 추가로 구매하고 활용 범위도 넓힌다는 방침이다.

다만 경찰이 드론의 수를 늘려가는 것과 대조적으로 체계적인 내부 교육시스템이 미미한 점은 아쉬움으로 꼽힌다. 실종자 수색용 드론을 활용하는 방법 등 작전에 필요한 기능을 교육하는 프로그램을 자체적으로 운영하고 있지만, 조종자 자격증 취득 교육이나 지도자 교육 등의 인력양성 체계는 별도로 없다. 소방청이 자체적으로 드론 전담기관을 만들어 드론조종자 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육 등을 시행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드론에 관심이 있는 경찰들은 사비를 털어 조종자 자격증을 따고 있는 실정이다. 드론조종자 자격증 취득을 위해선 필기시험과 실습비행, 실기시험에 합격해야 하는 데 안전을 위해 전문기관에서 교육을 받아야만 한다. 전국 교육기관별로 다르지만 조종자자격증 취득하는데 보통 200~300만원이 들어간다. 경찰들은 수사에 드론을 활용하고자 월급에 맞먹는 비용을 개인적으로 내는 것이다. 한 경찰 관계자는 “드론을 활용하는 수사가 늘어날 전망이라 경찰 내부에 전문 교육기관 설립해 체계적으로 인력을 양성하고 교육해야 한다”며 “경찰 개인의 비용 부담도 줄이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성필 기자 f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