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코로나19 ‘4차 대유행’이 본격화하는 가운데 10일 신규 확진자 수는 1300명대 후반을 기록하면서 또다시 최다 기록을 갈아치웠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1378명 늘어 누적 16만6722명이라고 밝혔다. 전날(1316명)보다 62명이나 많다.
이는 지난해 1월 20일 국내에서 첫 코로나19 환자가 발생한 이래 가장 많은 수치로, 지난 8일부터 1275명→1316명→1378명을 나타내며 사흘 연속 최다 기록을 경신했다. 또 7일(1212명)부터 나흘 연속 1200명이 넘는 확진자가 나왔는데 이는 국내 코로나19 사태 이후 처음이다.
이에 정부는 확산세가 거센 수도권의 ‘사회적 거리두기’를 오는 12일부터 25일까지 2주간 최고 수위인 4단계로 격상하고, 오후 6시 이후에는 3인 이상 사적 모임을 제한하는 등 방역의 고삐를 바짝 죌 방침이다. 그러나 본격적인 휴가철을 앞둔데다 전파력이 더 강한 인도 유래 '델타형' 변이 바이러스도 곳곳으로 퍼지고 있어 당분간 확산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이달 들어 수도권을 중심으로 크고 작은 집단감염이 속출하면서 본격화한 4차 대유행은 연일 무서운 기세로 확산하고 있다. 지난 4일부터 이날까지 최근 1주간 발생한 신규 확진자는 일별로 743명→711명→746명→1212명→1275명→1316명→1378명이다. 이 기간 1300명대와 1200명대가 각 2번, 700명대가 3번이다.
1주간 하루 평균 약 154명꼴로 확진자가 나온 가운데 일평균 지역발생 확진자는 약 992명에 달한다. 이날 신규 확진자의 감염경로는 지역발생이 1320명, 해외유입이 58명이다. 지역발생 확진자는 역시 최다 기록을 세웠던 전날(1236명)보다 84명 더 많다. 지역별로는 서울 501명, 경기 441명, 인천 79명 등 수도권이 1021명(77.3%)이다.
수도권 지역발생 확진자는 지난 7일부터 사흘 연속(990명→994명→963명) 900명대를 나타낸 데 이어 이날 처음으로 1000명대로 올라섰다. 특히 서울은 주간 일평균 확진자가 약 431명으로 전날에 이어 이틀 연속 4단계 기준(389명 이상)을 넘었다.
비수도권은 부산 59명, 대전 47명, 경남 36명, 울산 29명, 충남 28명, 광주 20명, 충북 18명, 강원 15명, 전북 14명, 대구 12명, 제주 10명, 경북 9명, 전남 2명 등 총 299명(22.7%)이다. 비수도권 비중은 이틀 연속 20%를 넘었다.
주요 감염 사례를 보면 서울 현대백화점 무역센터점 집단발병과 관련해 방문객 14명을 포함해 총 94명의 확진자가 나왔다. 또 서울 종로구 공연장(누적 22명), 영등포구 음식점(35명), 강남구 연기학원(21명), 인천 미추홀구 초등학교(41명), 경기 성남시 어린이집(19명) 등에서도 감염 사례가 잇따랐다.
해외유입 확진자는 58명으로, 전날(80명)보다 22명 적다. 이 가운데 21명은 공항이나 항만 검역 과정에서 확인됐다. 나머지 37명은 경기(10명), 서울(8명), 인천(5명), 경북(4명), 부산·대구(각 2명), 광주·대전·울산·강원·충북·충남(각 1명) 지역 거주지나 임시생활시설에서 자가격리하던 중 양성 판정을 받았다.
지역발생과 해외유입(검역 제외)을 합치면 서울 509명, 경기 451명, 인천 84명 등 총 1천44명이다. 전국적으로는 세종을 제외한 16개 시도에서 확진자가 나왔다. 사망자는 전날보다 2명 늘어 누적 2038명이 됐다. 평균 치명률은 1.22%다. 위중증 환자는 148명으로, 전날과 같다.
전날 하루 선별진료소에서 의심 환자를 검사한 건수는 3만7423건으로, 직전일 4만1435건보다 4012건 적다. 검사건수 대비 확진자를 계산한 양성률은 3.68%(3만7423명 중 1378명)로, 직전일 3.18%(4만1435명 중 1316명)보다 상승했다. 이날 0시 기준 누적 양성률은 1.53%(1088만1640명 중 16만6722명)이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