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방역 대응이 확진자 검사와 치료뿐 아니라 시민의 정신건강 돌봄까지 확장돼야 한다는 전문가 지적이 나왔다.
유명순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는 지난 7일 온라인으로 열린 ‘공중보건 위기 대응 체계 구축 연구단 제5회 공개세미나’에서 “방역 대응이 관계로부터 소외, 낙인에 대한 두려움 등을 고려하지 못한다면 지속 가능한 방역은 시행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지금껏 방역 대응은 검사, 추적, 치료에만 국한돼 있다는 것이다.
유 교수는 코로나19가 장기화됨에 따라 “취약 계층, 정신건강 등에 초점을 다시 맞추고 메시지 업데이트를 하는 등의 방안을 체계적으로 준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세미나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소통의 중요성, 지난 18개월 코로나19 위기소통 성과와 한계 평가, 정부-시민사회-전문가-미디어의 기대 역할과 책무, 공중보건 위기소통 강화를 위한 제안 순서로 진행됐다.
유 교수는 “조사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19는 통제할 수 있는 위험인가’라는 질문에 국민 절반이 불가능하다고 답했다”며 “코로나19 통제 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새로운 시도를 수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소통을 더 정교하게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유 교수는 “아무리 중요한 공중보건학적 사항이라도 미디어를 잘 다루지 못한다면 정부와 전문가가 국민을 설득하지 못할 것”이라며 “과학적 정보의 전달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고, 전문가의 과학적 의견이 대중에게 전달되는 맥락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어 “공중보건학적 활동에서 소통은 책무성을 지닌 활동”이라며 각자 정보를 수용할 때 맥락에 따른 차이가 생긴다는 점, 소통에는 불일치와 격차가 존재한다는 점, 역동적인 과정으로 소통을 이해할 것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박세원 기자 o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