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도 ‘韓 4단계 격상’ 긴급 보도…“방역 모델이었는데”

입력 2021-07-09 20:11 수정 2021-07-09 20:12
사진=연합뉴스

주요 외신들이 9일 한국의 수도권 지역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 격상 소식을 긴급히 타전했다.

AP·블룸버그·로이터 통신 등은 이날 “한국이 다음 주부터 수도권에 대한 가장 강력한 사회적 거리 두기를 시행한다”며 신속하게 소식을 전했다.

AP 통신은 “이날 오전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1316명으로 종전 최고 기록은 전날 1275명을 경신했다”면서 이번 조치가 “팬데믹 이래 최악의 코로나19 확산과 싸우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신규 확진자 중 1000명은 서울과 인근 수도권에서 발생했는데 이 지역은 5100만 인구의 절반이 살고 있는 곳”이라고 부연했다.

통신은 ‘오후 6시 이후 3명 이상 사적 모임 금지, 유흥주점 및 종교시설 폐쇄, 병원 및 요양원 방문 금지, 결혼식 및 장례식 참석 친족으로 제한 등’ 4단계 내용을 자세히 소개하면서 “서울의 번화한 야간 유흥을 마비시킬 수 있다”고도 했다.

한국 정부에 비판적인 사람들은 정부가 경제 악화 우려에 사회적 거리 두기 조기 완화를 추진함으로써 상황을 악화시켰다는 내용도 담았다.

워싱턴포스트(WP)는 이날 4단계 격상 소식과 함께 “한국 정부는 지난달 백신을 한 번이라도 맞은 이들의 실외 마스크 의무 해제, 사적 모임 최대 6명으로 확대, 식당 영업시간 제한 완화 등을 허용했고 다른 국가와의 검역 없는 여행 협정도 적극 모색했다”며 너무 이른 시기에 경계를 늦췄다는 전문가들의 비판이 있다고 언급했다.

특히 “한국은 팬데믹의 퇴로를 마련한 최초의 동아시아 국가 중 하나였다. 팬데믹 초기 엄격한 봉쇄 조치를 피하면서도 강력한 검사와 접촉자 추적으로 바이러스를 통제해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었다”면서 “그러나 한국으로선 최악의 것으로 보이는 이번 확산이 전염병 대응 모델이었던 한국의 명성에 타격을 준다”고 평가했다.

영국 가디언은 “한국은 이전에 대중들의 사회적 거리 두기 및 방역 조치 준수로 팬데믹과 어떻게 싸워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모델로 여겨졌다”며 “그러나 공급 부족으로 백신 접종이 늦어지기도 했다”고도 전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