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진자 급증으로 수도권의 사회적 거리두기가 4단계로 격상된 가운데, 생활치료센터 병상 부족 우려가 나온다. 가장 많은 확진자가 나온 서울시는 다음 주까지 병상을 대폭 확충해 대응한다는 계획이지만, 전파력이 강한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본격적으로 기승을 부릴 경우 상황을 장담하기 어렵다.
서울시는 9일 코로나19 생활치료센터 가동률이 76.9%라고 밝혔다. 2798개 병상 중 2153개 병상을 가동 중이다. 생활치료센터는 입원 치료 필요성은 낮지만 격리가 필요한 환자를 수용하는 곳이다. 정부는 지난해 3월 코로나19 대응 생활치료센터 운영지침을 내놨다.
서울시 및 자치구의 생활치료센터 가동률은 이번주 20~30대를 중심으로 코로나 확진자가 대폭 늘어나면서 급증했다. 지난 2일 가동률 60.6%(2655개 중 1609개)에서 일주일 만에 16.3% 포인트가 상승했다.
박유미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 이날 코로나 정례브리핑에서 “현재 서울시 확진자 중에서 병상 대기자는 없다”면서도 “확진자가 500명대로 급증하고 무증상·경증 환자가 많아 생활치료센터 수요가 급증했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생활치료센터 병상 부족을 막기 위해 다음주까지 순차적으로 최소 2000개 병상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박 국장은 “오늘 250병상 규모의 생활치료센터 한 곳을 설치한다”며 “다음주 월요일에는 277병상, 수요일에는 378병상 등 지난 7일 마련한 177병상을 포함해 1082병상은 이미 설치가 확정됐다”고 말했다. 아울러 추가 1000개 병상과 관련해서는 “한 곳은 장소를 협의했고, 다른 한 곳은 섭외는 했지만 운영할 병원을 확보하기 위해 협의 중”이라며 병상 마련이 수월하게 진행 중이라고 전했다.
계획대로 생활치료센터 병상을 마련하면 4600여개 병상이 마련된다. 문제는 향후 확산세다. 서울의 경우 최근 사흘간 583명, 550명, 503명을 기록했다. 줄어드는 추세지만, 코로나19 잠복기가 통상 2~14일까지여서 언제든 더 늘어날 수 있다. 정부는 현 상황이 더 악화될 경우 코로나19 환자가 7월말에는 하루 2000명 이상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서울시는 지난 3차 대유행 당시 5800여개 병상을 마련한 바 있는데, 이보다 훨씬 더 많은 생활치료센터가 필요해질 수 있는 셈이다.
박 국장은 “서울 시내에는 연수원이나 교육원이 별로 없어서 3차 유행 당시 경기도 등에 마련했다”며 “우선 중단됐던 곳을 최대한 가동하고 가능하다면 접근성이 좋은 시내 호텔과 기숙사 등 지속적으로 장소를 협의하고 운영 병원도 섭외해 치료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권중혁 기자 gre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