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백스(COVAX)를 통해 백신을 제공받기로 한 북한이 중국산 백신을 믿지 못해 도입을 주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연구진은 9일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북한 정세 브리핑: 쟁점과 포커스’ 주제로 개최한 기자 간담회에서 “북한은 해외 코로나19 백신 도입을 추진 중이나 현재 확보한 것은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연구원은 “북한이 중국산 백신에 대한 불신으로 도입을 주저하고 있다”며 “러시아 백신은 긍정적으로 평가하지만 무상지원을 요구하는 것 같다”고 전했다.
현재 북한은 지난 3월 말부터 해외 주재 북한 외교원공관과 무역상사원 등 해외로 파견된 북한인이 중국과 러시아 백신을 맞는 것은 허용하면서도, 중국과 러시아 백신의 북한 내 도입에는 나서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또 연구원은 북한이 코백스를 통해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을 도입할 예정이었지만, 부작용을 우려해 수용을 거부했다며 다른 백신으로의 대체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백신 공동 구매·배분을 위한 국제 프로젝트인 코백스는 지난 3월 북한에 백신 199만2000회분을 배정하고 이 가운데 백신 170만4000회분을 지난 5월까지 전달할 계획이라고 밝혔지만, 지금까지 공급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와 관련, 북한이 백신 전달을 위한 구호요원의 방북을 거부하는 등 필수 행정절차에 협조하지 않아 코백스의 백신 공급이 지연되고 있다고 미국의소리(VOA) 방송이 보도 한 바 있다.
최민우 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