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구미 해평취수장 공동 이용 인센티브 100억원을 마련했다. 대구시는 인센티브 마련을 시작으로 남은 취수원 이전 숙제를 풀어갈 방침이다.
대구시는 구미시 해평취수장 관련 일시 지원금과 코로나19 경제 방역 등을 위한 제2회 추가경정예산 4155억원을 편성해 대구시의회에 제출했다고 8일 밝혔다.
앞서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는 대구의 구미 해평취수장 하루 30만t 물 이용을 의결하면서 대구가 구미에 일시 지원금 100억원을 지원해야 한다는 단서를 달았다. 환경부가 내년부터 구미시에 매년 지원하는 상생발전기금 100억원과는 별개로 대구시의 예산으로 지급한다.
대구시는 구미시가 해평취수장 영향 지역에 대한 지원책을 마련해 구미시의회 승인을 받는 즉시 100억원을 지원할 방침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일시 지원금 100억원은 대구의 상생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밝혔다.
대구 취수원 이전 문제는 10여년 동안 대구·경북의 난제였다. 대구와 구미의 갈등은 2009년부터 시작됐는데 갈등의 씨앗은 1991년 낙동강 페놀 사태다. 대구시는 식수 안전성 확보를 위해 구미공단 위쪽 낙동강 상류로 취수원을 이전하길 원했지만 구미시의 반대가 강해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2018년 대구 수돗물 과불화화합물 검출사태로 문제가 다시 불거졌고 갈등이 풀릴 기미가 보이지 않자 2019년 총리실 주재로 정부와 해당 지방자치단체들이 ‘낙동강 물 문제 해소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업무협약에 따라 낙동강 수질 개선 관련 용역을 실시해 최근 대구의 해평취수장 이용이 결정됐다.
한편 대구시의 추경예산 대부분은 올해 제3차 대구형 경제방역대책 추진을 위해 쓰일 예정이다. 추경액수는 주택가격 상승과 거래량 증가에 따른 부동산 취득세 등 지방세 수입 1500억원, 희망근로 지원사업 등 국고보조금 1268억원 등을 합한 금액이다. 3차 대구형 경제방역 616억원, 일상회복과 소비진작을 위한 ‘다시 뛰는 대구경북 점프 업(Jump Up)’ 185억원, 코로나19 방역과 민생안정 강화 3354억원 등이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