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관련 규제를 완화하고 있는 영국과 미국 등 백신 접종률 선두국에서 ‘노마스크’ 조치가 논란을 빚고 있다. 델타 변이 바이러스 확산을 고려해 마스크 착용을 의무화해야 한다는 의견과 이젠 개인의 선택에 맡겨야 할 때라는 의견이 맞서고 있다.
미국 CNBC는 6일(현지시간) 영국과 미국에서 마스크 착용에 대한 논쟁이 뜨거워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전날 백신 접종 성과를 앞세워 오는 19일부터 마스크 착용 의무화 조치를 해제하고 개인의 판단에 맡기겠다고 밝혔다.
영국의 SNS는 즉각 반발하는 여론으로 들끓었다. 트위터에선 ‘마스크를쓰자(#WearAMask)’는 해시태그가 빠르게 퍼졌다. 영국의 한 응급의학 전문의는 “코로나19는 끝나지 않았다. 백신을 맞았더라도 델타 변이에 감염될 수 있다”고 썼다.
헬렌 헤이스 영국 노동당 의원은 “마스크는 자신이 아니라 다른 사람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며 “존슨 총리의 경솔한 결정은 면역력이 낮거나 의학적인 이유로 예방접종이 불가능한 사람들에겐 최악”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맞서는 의견도 등장했다. 한 트위터 이용자는 ‘더는못참겠다(#EnoughisEnough)’는 해시태그를 달고 “마스크를 쓰지 않겠다. 나는 이 문제가 건강이 아니라 권력에 관한 것임을 깨달았다”며 “이런 권위주의적이고 압제적인 조치에 따르지 않을 것”이라고 반발했다.
CNBC는 미국에서도 마스크에 대한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지난 5월 백신 접종을 완료한 사람들은 마스크를 착용할 필요가 없다고 발표했다. 반면 앤서니 파우치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소장은 “백신을 맞아도 접종률이 낮은 지역에선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미국에선 주마다 규정이 다르다. 일부 주에서는 CDC 권고를 따르고 있으나 로스앤젤레스나 세인트루이스 카운티 등 일부 지역에선 델타 변이 확산을 우려해 백신 접종 여부와 무관하게 실내 마스크 착용을 권고하고 있다.
정우진 기자 uz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