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경상수지가 107억6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1년 전에 비해 무려 5배나 불어나면서 13개월 연속 흑자 기조를 유지했다. 이는 수출 호조와 국제 운임 상승이 이어진 상황에서 국내 기업이 해외 현지법인에서 받은 배당 수입도 큰 폭으로 늘어난 결과다.
한국은행이 7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통계에 따르면 5월 경상수지는 107억6000만 달러(약 12조2018억원) 흑자로 집계됐다. 지난해 5월 이후 13개월째 흑자일 뿐 아니라 작년 동월(22억4000만 달러)과 비교해 흑자 규모가 85억2000만 달러 늘었다.
우선 5월 상품수지 흑자(63억7000만 달러)가 1년 전보다 37억5000만 달러 증가했다. 수출(503억5000만 달러)이 49.0%(165억6000만 달러), 수입(439억8000만 달러)이 41.1%(128억1000만 달러) 각각 늘었다.
서비스수지는 5억6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지만 작년 5월(-6억5000만 달러)보다 적자 폭이 9000만 달러 줄었다. 특히 운송수지 흑자(11억9000만 달러)가 10억5000만 달러나 뛰었다. 5월 선박 컨테이너운임지수(SCFI)가 1년 전보다 284.4%나 급등하면서 해상화물 운송수입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행수지 적자(-7억1000만 달러)는 작년 5월(-1억4000만 달러)보다 오히려 커졌다. 본원소득수지는 54억9000만 달러 흑자로 집계됐다. 1년 전(5억5000만 달러)과 비교하면 49억4000만 달러 늘었다. 국내 기업들이 해외 현지법인으로부터 받은 배당 수입이 증가하면서 배당소득수지가 1년 사이 1억3000만 달러 적자에서 46억8000만 달러 흑자로 돌아선 데 따른 것이다.
금융계정 순자산(자산-부채)은 5월 중 83억8000달러 증가했다. 직접투자의 경우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34억4000만 달러, 외국인의 국내투자도 8억4000만 달러 각각 불었다. 증권투자에서는 내국인 해외투자가 43억8000만 달러 늘었지만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는 15억 달러 감소했다.
한편 국제수지통계는 일정 기간 거주자와 비거주자 사이에 발생한 경제적 거래를 체계적으로 기록한 통계로, 국제수지는 크게 경상수지·자본수지·금융계정으로 구분된다. 경상수지는 상품과 서비스 등을 사고팔아 벌어들인 외화(수출)와 지급한 외화(수입)의 차이를 의미하며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본원소득수지, 이전소득수지 4가지 항목으로 구성된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