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5일 “총장직을 그만두게 된 것 자체가 월성 원전 자체와 직접 관련이 있다”고 말했다.
윤 전 총장은 이날 오후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를 찾아 문재인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대한 비판을 주도해 온 주한규 원자핵공학과 교수를 면담했다. 이후 기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그는 “월성 원전 사건이 고발돼서 대전지검을 전면 압수수색 진행하자마자 감찰과 징계 청구가 들어왔고, 어떤 사건 처리에 대해서 음으로 양으로 굉장한 압력이 들어왔다”고 했다.
윤 전 총장은 “저는 검수완박이라 하는 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이 백운규 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를 계기로 해서 이뤄진 것이라 봤고 제가 그렇게 느꼈다”며 “제가 더 이상은 자리에 앉아있을 수 없다고 판단해 나왔고, 결국 오늘 정치를 참여하게 된 계기 역시 월성 원전 사건과 무관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최재형 감사원장께서 정치에 참여할지 모르겠지만, 원장을 그만둔 것 역시 월성 원전과 관계가 있기 때문에 많은 법적 문제를 안고 있다”면서 “(검찰총장) 당시까지만 해도 (사건을) 배당해서 일할 때만 해도 탈원전 인식은 부족했던 것 같다. 저도 공직자고 정부 정책에 대해 막연하게 큰 생각이 없었다”고 했다.
주 교수는 “(정부가) 원자력 전문가와의 불통으로 여러 문제점을 야기했는데, 원자력이 오랜 가동 이력으로서 생명 안정성이 높음을 입증해왔다고 말씀드려서 (윤 전 총장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 것 같다”며 “우리나라에 적합한 저비용 청정에너지원으로서 원자력이 전력과 수소 같은 에너지원을 생산하는 데 있어서 유효 수단으로 활용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