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수소 확보를 위한 새로운 기술 연구에 뛰어든다. 대체에너지 확보를 통해 글로벌 환경도시 위상을 높일 계획이다.
대구시는 세계 최초로 플라즈마(Plasma)를 활용한 매립가스(LFG) 수소전환 실증연구에 참여한다고 5일 밝혔다. 플라즈마는 기체에 높은 전기에너지를 가해 원자핵과 전자가 떨어져 있는 상태의 물질로 온도(1만도 이상), 반응성, 전기전도도가 높아 가스물질 분해, 재료의 용접·합성·절단 등 많은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앞서 대구시는 지난달 쓰레기매립장에서 나오는 매립가스를 고부가가치 원료인 메탄올로 전환하는 실증연구를 성공적으로 완료한 바 있다. 매립가스 메탄올 전환 실증연구를 대구시와 함께 진행한 업체가 수소전환 실증에도 참여기관으로 선정됨에 따라 대구시도 이번 실증에 참여할 수 있게 됐다. 대구시는 매립가스 제공, 플랜트 설치, 각종 행정지원 등 실증연구를 지원하는 형태로 참여한다.
수소는 친환경 대체에너지로 각광받고 있지만 아직 대량 생산 등이 어렵다. 현재 수소를 생산하는 방법에는 부생부소, 천연가스 개질, 수전해 등이 있고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산업공정에서 발생하는 혼합가스에서 수소를 분리하는 부생수소 방법(연간 190만t 정도 생산)이다. 대부분 수요처에서 생산돼 활용되기 때문에 외부로 공급되는 양이 많지 않고 임의로 수소생산량을 조절할 수도 없다.
대구시는 매립가스 기반 고순도 수소정제 시스템 개발 실증연구가 성공하면 수소생산 분야의 다양화가 가능해져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의 2040년 연간 수소 공급량(526만t) 목표 달성과 지구온난화 방지 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홍성주 대구시 녹색환경국장은 “비록 소규모 플랜트를 통한 실증연구 단계지만 대표적인 지구온난화 물질인 매립가스를 친환경 에너지인 수소로 전환하는 데 성공하면 매립가스 고부가가치화가 가능하다”며 “국제적 탄소배출저감 캠페인인 레이스 투 제로와 2050 탄소중립에 대구시가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