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경찰의 전국노동자대회 수사 착수에 “집회 결사의 자유는 어디로 갔냐”며 ‘민주노총 죽이기’로 규정하고 격하게 반발했다.
민주노총은 5일 서울 중구 정동 민주노총 건물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3일 경찰의 집회 봉쇄 조치에 “과거 독재정권 시절에서나 볼 수 있었던 집회 원천봉쇄”라며 “법이 보장하는 집회, 결사의 자유는 어디 갔나. 촛불 성과를 계승한다는 인권변호사 출신 대통령 재임 시절에 가능한 일인지 묻고 싶다”고 개탄했다.
이어 “(전국노동자대회는) 노동자들의 절박한 처지와 요구를 알리고 이의 해결을 촉구하기 위한 선택”이라며 “노동자들의 절박한 호소에 눈 감고 귀 닫고 입 다물며 나온 답이 특별수사본부 설치와 엄정대응이라니 남은 임기 동안 펼쳐질 행보가 눈에 보인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그 과정에 민주노총 죽이기, 민주노총 고립시키기 기도가 노골적으로 드러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이들은 지난 3일 여의도에서 전국노동자대회를 열 예정이었지만 경찰의 봉쇄 조치로 장소를 종로 일대로 변경했다. 이날 집회에는 민주노총 추산 약 8000명이 참석했다.
경찰은 민주노총 집회 후 서울경찰청 수사부장이 본부장을 맡는 52명 규모의 특별수사본부를 꾸리고 본격적인 수사에 나섰다.
민주노총은 “코로나19의 감염확산이 우려스럽다. 민주노총이라고 이 상황에 대해 다른 인식과 입장을 가지지 않는다”면서도 “이를 해결하고 극복하는 정부의 방식에는 동의할 수 없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실제 코로나19의 야외감염률은 0.1% 미만이라는 전문가와 연구자들의 발표에 근거해 실외 스포츠 관람과 야외 콘서트 등이 허용되고 있다”며 “하지만 야외집회는 철저하게 막힌다. 왜 같은 야외 행사인데 기준이 달라지냐”고 반문했다.
또 “감염의 위험이 높은 실내 콘서트도 수천명의 입장을 허용하고 사적모임 인원 제한을 상향하고 영업시간을 연장하고 있다. 일관성 잃은 정부 지침에 혼란만 가중된다”고 강조했다.
기자회견에 나온 민주노총 지도부는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지난 29일 대선 출마 기자회견 당시 지지자들이 가득 모인 장면을 거론하며 오히려 당시 방역 수칙이 전국노동자대회보다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다고도 지적했다.
하반기 총파업을 예고한 민주노총은 “제발 절박한 노동자들의 목소리를 들어라. 현장의 목소리를 들어라”며 “절박한 목소리에 모르쇠로 일관하는 자본과 정권에 대해 취할 수 있는 노동자, 민중의 선택지는 하나일 수밖에 없음을 명심하라”고 경고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