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대선 유력주자로 손꼽히는 윤석열 전 검찰총장과 이재명 경기지사가 ‘역사인식’을 두고 SNS에서 치열한 설전을 벌였다.
이번 설전은 이 지사가 지난 1일 경북 안동 이육사문학관을 찾아 “대한민국이 친일 청산을 못 하고 친일 세력들이 미 점령군과 합작했다”고 주장하면서 불거졌다. 해당 발언이 논란이 되자 이 지사는 이틀 뒤 보도자료를 통해 “승전국인 미국은 일제를 무장해제하고 그 지배영역을 군사적으로 통제했으므로 ‘점령’이 맞는 표현”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윤 전 총장은 4일 페이스북을 통해 “셀프 역사 왜곡을 절대 용납할 수 없다”고 강한 어조로 비판했다. 그는 “집권세력의 차기 유력후보 이 지사가 ‘미군은 점령군, 소련군은 해방군’이란 황당무계한 망언을 이어받았다”며 “온 국민의 귀를 의심하게 하는 주장”이라고 직격했다.
윤 전 총장은 “대한민국을 잘못된 이념을 추종하는 국가로 탈바꿈시키려 한다”며 “시장을 부정하는 주택정책과 소주성 정책 등 모두 잘못된 이념에 취해 나온 것”이라고 꼬집었다. 또 “국정 최고책임자인 대통령이나 청와대가 어떠한 입장 표명도 없다는 것이 더 큰 충격”이라며 문재인 대통령을 직접 겨냥하기도 했다.
이 지사는 윤 전 총장을 향해 “색깔공세”라며 반격했다. 그는 페이스북에 “윤 전 총장께서 처음으로 저를 직접 지적하셨으니 답을 드리는 것이 예의”라며 “저에 대한 첫 정치 발언이 역사적 사실에 근거한 제 발언을 왜곡 조작한 구태 색깔공세라는 점이 참으로 안타깝다”고 했다.
이어 “해방 후 한반도에 진주한 미군에 대해, 저의 발언에 대해 잘못 알고 계시고, 새로운 정치를 기대했는데 처음부터 구태 색깔공세라니 참 아쉽다”고 덧붙였다.
이 지사는 “38선 이북에 진주한 소련군과 이남에 진주한 미군 모두 점령군이 맞다”며 “저는 북한 진주 소련군이 해방군이라고 생각한 일도 없고 그렇게 표현한 바도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미군 포고령에도 점령군임이 명시돼 있고, 윤 전 총장께서 숭상하실 이승만 대통령, 제가 존경하는 김대중 대통령께서도 점령군이라는 표현을 공식적으로 하셨을 뿐 아니라 일본의 점령군임은 부인할 수 없는 역사적 사실”이라고 반박했다.
또 “점령군으로 진주했던 미군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철수했다가 6·25전쟁 당시 유엔군의 일원으로 참전한 후 한미상호방위조약에 의해 지금까지 주둔하고 있다”며 “같은 미군이라도 시기에 따라 점령군과 주둔군으로서 법적 지위가 다르고 동일할 수 없다는 것은 법학개론만 배워도 알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지사는 아울러 “정부 수립 후 부정 불의와 친일 매국 요소가 뒤늦게나마 많이 청산됐지만 그 일부가 여전히 우리 사회 곳곳에 독버섯처럼 남아 사회통합을 방해하고 자주독립국가의 면모를 훼손하는 것이 현실”이라며 “총장께서 입당하실 국민의힘 역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또 이 지사는 지난 3월 검찰총장직에서 사퇴한 뒤 국정에 대한 공부를 이어온 윤 전 총장을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이 지사는 “국정이란 것이 20~30권 사법고시와 달리 영역과 분량이 방대해 공부할 것이 참 많다. 열심히 제대로 공부해야지요”라며 “저도 계속 공부 중이지만 여전히 부족함을 느낀다. 공부하시려는 노력에 경의를 표한다”고 말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