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대권주자인 정세균 전 국무총리가 4일 문재인 정부에서 국무총리로서 인사 관련 역할을 제대로 했느냐는 질문에 “최선을 다했지만, 충분하지 못했다고 반성한다”고 답했다.
정 전 총리는 이날 청주 CJB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민주당 예비경선 절차인 ‘국민면접’에서 ‘문재인 정부가 인재를 두루 기용하지 못했다는 세간의 평가가 있다’고 지적하는 질문에 “저도 그렇게 생각한다”며 이 같이 답했다.
그는 부동산 문제에 대한 책임을 지적하는 질문에도 “책임이 있다”고 인정했다. 다만 “(나는) 재임하는 동안 수요 억제 정책만 갖고는 안 되고, 공급을 대폭 늘려야 한다는 말을 내각에 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주택가격 관련 부동산 정책 목표를 어떻게 잡아야 하는지에 대해 묻자 “하향 안정화, 소프트랜딩(연착륙)하는 게 좋겠다”며 “현재는 주택가격이 너무 높다”고 지적했다.
정 전 총리는 ‘집값이 내려갈 경우, 영끌해서 집을 소유하게 된 젊은 세대의 실망감은 어떡하느냐’는 추가 질의에는 “유감스럽지만, 국민 모두는 성인이 되면 경제적 의사 결정을 자신이 책임져야 한다”고 언급했다. 대신 “정부는 주택 가격이 적정하게 상승하게 한다든지, 안정되게 소프트링되게 한다든지 하는 정책 노력을 열심히 해야 하고, 이에 실패하면 정치적 책임을 지는 것이다. 그게 재보선에도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총리 시절 민주당과 기획재정부가 재정 정책을 놓고 자주 엇박자를 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당은 선거나 국민 여론을 중시하고, 기재부는 국가의 곳간 역할을 하기 때문에 충돌이 있을 수밖에 없다”며 “총리는 그걸 조정하는 역할이고, 비교적 성과를 냈다고 자부한다”고 말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