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한 수도권 지역에 강화된 방역 조치를 적용하기로 했다. 수도권에서는 백신을 접종한 사람도 실내·외에서 모두 마스크를 써야 하고, 오후 10시 이후에는 공원이나 강변 등 야외에서는 술을 마실 수도 없다.
정부는 4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수도권 방역조치 강화 방안’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당초 7월부터는 백신을 한 차례라도 맞은 사람은 공원·산책로 등 야외에서 마스크를 벗을 수 있었으나 앞으로는 실내·외에서 모두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백신 종류별로 정해진 횟수를 모두 마친 접종 완료자도 마찬가지다.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았다가 적발되면 시설 및 장소 관리자·운영자에게는 300만원 이하, 위반 당사자에게는 10만원 이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
또 오후 10시 이후 수도권 공원이나 강변 등 야외에서 술을 마시는 행위가 금지된다.
정부는 아울러 유행 상황이 안정될 때까지 수도권 내 학원·교습소, 실내체육시설, 종교시설, 노래연습장, 목욕탕, 유흥시설, 식당·카페 등 고위험 다중이용시설 7종을 대상으로 방역 실태를 점검할 예정이다.
방역수칙을 위반한 개인이나 업소 등에는 생활지원금 지원 배제, 과태료 처분 등 엄정 대응할 방침이다.
서울 중구, 강남구, 송파구 등 평소 유동 인구가 많고 인구 밀집도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임시 선별검사소나 이동형 선별검사소를 추가로 설치하고 운영 시간도 연장한다.
20∼30대가 많이 출입하는 유흥시설, 주점, 노래방 등을 비롯해 학교·학원 종사자 등에 대해서는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선제 검사를 실시한 뒤 주기적으로 검사를 이어갈 예정이다.
기존 바이러스보다 전파력이 더 센 변이 바이러스 대응도 강화한다. 정부는 변이 바이러스 분석률을 현재 15%에서 20%로 확대하고 수도권의 경우 25%까지 늘릴 계획이다.
한편 수도권의 국내 하루 평균 확진자 수는 3일 0시 기준 531.3명으로 직전 1주와 비교해 46.2% 증가했으며 1주간 전국 환자 발생의 81%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20~30대가 자주 이용하는 유흥시설, 주점들이 밀집된 수도권 지역에서 확진자가 많다. 최근 1주간 10만명당 발생률이 높은 5개 지역은 서울 강남구(63.7명), 서울 중구(53.9명), 부산시 서구(42.6명), 서울 용산구(39.7명), 서울 종로구(33.7명) 등이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