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절임 배추를 비위생적으로 만드는 이른바 ‘알몸 김치 영상’ 파문에도 불구하고 국내 음식점의 중국산 김치 사용은 크게 줄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외식산업연구원이 올해 4월 20∼30일 국내 음식점 1000곳을 조사한 결과, 중국산 김치 파동 전후 수입 김치 구매 비율은 47.1%에서 43.1%로 4.0% 포인트 감소하는 데 그쳤다.
국내 수입 김치는 사실상 모두 중국에서 들여오고 있다.
또 중국산 김치 파동 이후 국산 김치로 바꿀 의향이 없다는 답변이 전체의 67.9%에 달했다.
업종별로는 중식당이 81.2%로 국산 김치로 안 바꾸겠다는 응답률이 가장 높았다. 이어 서양식이 70%, 김밥 및 기타 간이음식점이 69.9%, 한식이 62.6%, 일식이 50% 순으로 나타났다.
수입산 김치를 국산으로 바꾸지 않는 이유로는 53.2%가 국산 김치 단가가 비싸다는 점을 들었다. 현재 구매하는 수입산 김치는 믿을 만하다는 답변은 18.0%로 나타났다. 뒤이어 ‘수입산을 이용해도 고객 항의가 없다’는 답변이 17.6%, ‘단무지 등으로 대체하고 있다’는 답변이 6.6%로 집계됐다.
최근 백반 전문점을 개업한 A씨도 수입산 김치를 쓰는 이유로 저렴한 가격을 꼽았다. 그는 “국산 김치 가격이 중국산의 두 배가 돼 고민하다가 결국 중국산을 쓰기로 했다”며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고 했다.
실제로 중국산 김치 파동에도 불구하고 올해 들어 김치 수입액은 작년과 비교해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다.
관세청 수출입 무역통계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김치 수입액은 673억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2.7% 감소했다.
최민우 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