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노동당 제8기 제2차 정치국 확대회의가 지난 29일 열렸다고 조선중앙통신이 30일 보도했다. 김정은 총비서는 책임 간부들이 비상방역 사업에 태만해 '국가와 인민의 안전에 위기를 조성하는 중대 사건'이 발생했다며 질타했다. 이어 정치국 상무위원회 위원과 정치국 위원, 후보위원을 소환·보선했으며 당 중앙위원회 비서도 소환·선거했다. 사진 속 리병철 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흰색 원)이 시선을 떨군 채 거수의결하고 있고 김 총비서가 리 부위원장 쪽을 바라보고 있다. 연합뉴스
북한이 코로나19 방역과 관련해 ‘중대 사건’이 벌어졌다며 핵심 간부를 해임해 ‘중대사건’ ‘문책 인사’의 구체적 내용이 뭔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권력 서열 2위 최룡해 최고인민위원회의 상임위원장은 자리를 지킨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군 서열 1위인 리병철 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의 해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북한 노동당 제8기 제2차 정치국 확대회의가 지난 29일 열렸다고 조선중앙TV가 30일 보도했다. 김정은 당 총비서는 회의에서 책임 간부들이 국가비상방역전에 대한 당의 중요 결정을 태업했다고 비판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당 정치국 상무위원회 위원과 정치국 위원·후보위원, 당 중앙위원회 비서를 각각 소환·선거했다. 박정천 군 총참모장(파란 원)이 침통한 표정으로 고개를 숙이고 있다. 연합뉴스
북한 노동당 제8기 제2차 정치국 확대회의가 지난 29일 열렸다고 조선중앙TV가 30일 보도했다. 김정은 당 총비서는 회의에서 책임 간부들이 국가비상방역전에 대한 당의 중요 결정을 태업했다고 비판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당 정치국 상무위원회 위원과 정치국 위원·후보위원, 당 중앙위원회 비서를 각각 소환·선거했다. 리병철 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붉은 원)이 눈을 감은 채 고개를 떨구고 있다. 연합뉴스
북한 노동당 제8기 제2차 정치국 확대회의가 지난 29일 열렸다고 조선중앙TV가 30일 보도했다. 김정은 당 총비서는 회의에서 책임 간부들이 국가비상방역전에 대한 당의 중요 결정을 태업했다고 비판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당 정치국 상무위원회 위원과 정치국 위원·후보위원, 당 중앙위원회 비서를 각각 소환·선거했다. 김 총비서가 손을 들어 지적하면서 간부들을 질책하고 있다. 연합뉴스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제14기 제15차 전원회의가 1일 만수대의사당에서 최룡해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주재로 진행됐다. 이에 따라 지난달 29일 노동당 정치국 확대회의에서 해임된 정치국 상무위원의 범위가 한층 좁혀지게 됐다. 정치국 상무위원은 북한의 권력서열 1∼5위를 아우르는 핵심 직책으로,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비롯해 최룡해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조용원 당 조직비서, 리병철 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 김덕훈 내각총리 등 5명으로 구성돼 있다. 이 가운데 김 위원장과 비판 토론에 참여한 조 비서 등을 제외하면 리 부위원장이 해임됐을 가능성이 커 보인다. 연합뉴스
조선중앙통신 등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달 29일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가 주재한 정치국 확대회의에서 코로나19 방역 과정에서 간부들의 무책임에 따른 ‘중대사건’을 들어 당 최고위급 간부들을 일부 소환(해임) 및 선거하고, 국가기관 간부들을 조동(이동)·임명했다고 밝혔다. 정확하게 누구를 해임·선거했는지는 공개하지 않았다.
정치국 상무위원은 북한의 권력서열 1~5위를 아우르는 핵심 직책이다. 김 총비서를 비롯해 최 상임위원장, 조용원 당 조직비서, 리병철 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 김덕훈 내각총리 등 5명으로 구성돼 있다. 이 가운데 조용원 비서는 간부들을 맹비판하는 토론자로 나서기도 했다는 걸 고려하면 문책 대상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 최 상임위원장도 건재함을 드러냈다.
남은 2명은 리 부위원장과 김 내각총리다. 리 부위원장은 상무위원 해임·선거 장면에서 김 총비서를 비롯해 주석단에 앉은 정치국 구성원들이 오른손을 들어 거수의결할 때 박정천 군 총참모장과 함께 고개를 숙인 모습이 포착됐다. 해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추정된다. 김덕훈 총리는 당시 거수의결한 것으로 미뤄 유임된 것으로 보인다.
리병철은 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을 맡고 있어 김 총비서를 제외하고 군부 서열 1위다. 박정천은 2019년 9월부터 우리의 합동참모본부 격인 군 총참모부의 장을 맡고 있다. 이들은 단지 정치적 지위가 높을 뿐만 아니라 북한의 군 핵심 전력에 기여해 온 인사들이다.
북한은 고위급 인선을 단행한 뒤인 지난 2일자 노동신문 사설을 통해 “일부 일꾼은 당과 국가의 고충을 한 몸 내대고 맡아 풀겠다는 자각이 없이 패배주의와 안일해이에 빠져 무책임하게 일하고 있다”라고 질책하며 “직위를 막론하고 당적 수양과 단련을 더욱 강화해야 할 필요성을 절감했다”고 했다.
군 서열 1, 2위가 나란히 문책을 당했다면 김 위원장이 언급한 ‘중대 사건’ 역시 군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례적으로 ‘식량난’을 인정한 김 위원장이 주민들에게 군량미를 보급하라고 지시했는데 이를 제대로 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