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3일 도심 한복판에서 대규모 집회 강행 뜻을 고수하고 있다. 집회 참석자만 1만여명에 달할 것이란 예상이 나오면서 코로나19 방역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부와 서울시는 이를 방역 위기 상황으로 보고 연일 집회 취소를 요청하는 한편, 강행 시 강경 대응 방침을 천명했다.
민주노총은 3일 서울 여의도 일대에서 ‘전국노동자대회’를 개최하고 최저임금 인상과 중대재해 근절 대책 등을 요구할 계획이다. 앞서 수차례 정부 측의 요구가 있었음에도 집회 의지를 굽히지 않고 있다.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2일 서울 정동 민주노총 사무실을 찾아온 김부겸 국무총리와 정은경 질병관리청장과의 면담을 거부했다. 이양수 부위원장, 전종덕 사무총장, 한상진 대변인 등이 1층에서부터 김 총리 일행을 막아섰다. 또 일부 조합원들은 집회 피켓을 들고 출입을 저지했다.
김 총리 일행이 발길을 돌린 뒤 민주노총은 별도 성명을 내고 “불과 50분 전에 전화로 일방적인 민주노총 방문을 통보해 불가 입장을 밝혔다”며 “이를 무시한 총리의 행보를 어떻게 봐야 하느냐. (방문을) 강행한 의도가 너무 명확하지 않느냐”고 말했다.
민주노총은 또 집회와 관련, “감염보다 더 무서운 것은 일터에서의 죽음과 해고, 차별의 불평등 세상”이라며 “이를 호소하고 해결을 요구하는 것이 무리한 요구냐”고 따졌다. 양 위원장과 현 집행부는 오는 11월 대규모 총파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 전국노동자대회는 총파업에 앞서 전국적으로 조직력을 점검하고 파업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초전 성격이 짙다. 그런 만큼 민주노총으로선 이번 노동자대회를 쉽게 포기할 수 없는 상황이다.
민주노총은 전국노동자대회를 위해 여의도 내 40여 곳에서 9명씩 집회를 하겠다고 신고했다. 민주노총은 “정부의 방역 지침보다 높은 수위의 자체 지침을 준수하며 충분히 안전한 대회를 진행할 경험과 역량이 있다”는 입장이다. 앞서 코로나 19 상황에서 민주노총이 진행한 각종 집회에서 집단 감염이 발생하지 않은 점을 근거로 들고 있다.
하지만 경찰과 서울시는 방역 당국의 우려 등을 고려해 집회 금지 방침을 수차례 통보했다.
서울시는 2일 온라인 브리핑에서 3일로 예정된 민주노총 집회에 대해 “이미 집회금지 통보를 했으며 불법 집회 강행 시 엄중 대처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민주노총 집회와 관련해 순차적으로 집회 신고된 231건에 대해 지난달 22일부터 지난 1일까지 총 5차례에 걸쳐 집회금지를 통보했다”고 전했다.
김혁 서울시 총무과장은 “코로나19 상황이 워낙 엄중하다 인식하고 있고 불법집회에 따른 감염확산을 막기 위해 모든 조치를 다 할 것”이라며 “내일 집회가 예정된 여의도 및 도시권에 자치구 인력을 배치해 방역관리를 철저히 하고 채증 등으로 엄정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한다녕 인턴기자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