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넘버2’ 최룡해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의 건재함이 확인됐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최근 무능을 지적하며 권력서열 최상위에 있는 정치국 상무위원을 해임했다고 밝혔지만 최 위원장은 이에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조선중앙통신은 2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제14기 제15차 전원회의가 1일 만수대의사당에서 진행됐다”며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인 최룡해 동지가 전원회의를 집행했다”고 보도했다. 최고인민회의는 우리 국회와 유사하다.
앞서 북한은 지난달 29일 정치국 확대 회의를 열고 정치국 상무위원·위원·후보위원과 당 비서를 소환(해임) 및 선거하고 국가기관 간부들을 조동(이동)·임명했다고 밝혔다. 책임 간부들의 ‘태공’(태업)으로 ‘중대사건’이 발생했다는 이유에서다. 구체적인 해임·선거 대상을 공개하지는 않았다. 김 위원장이 언급한 중대사건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일각에서는 코로나19 방역 관련 사안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정치국 상무위원은 북한 권력서열 1~5위로 구성된 핵심 직책이다. 김정은 위원장과 최룡해 상임위원장, 조용원 당 조직비서, 리병철 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 김덕훈 내각총리가 이에 해당한다.
김정은 위원장이 노동당 정치국 확대 회의에서 해임하겠다고 한 정치국 상무위원의 범위는 좁혀지게 됐다. 최룡해 상임위원장이 자리를 지키고 있고, 조용원 조직비서는 간부들을 비판하는 토론자로 나섰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들은 문책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김덕훈 내각총리는 상무위원 해임·선거 장면에서 거수의결에 참여한 것을 고려하면 유임된 것으로 보인다.
다만 리병철 부위원장은 거수의결시 손을 들지 못하고 고개 숙인 모습이 포착돼 해임됐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