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2년 전 일본의 대(對)한국 수출규제 당시 강력한 정면 대응은 “문재인 대통령의 통찰과 결단”이라고 높게 평가했다. 이를 통해 소재·부품·장비(소부장) 독립운동을 이룰 수 있었다는 취지다.
박 수석은 1일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2년 전의 일이다. 일본의 소부장에 대한 기습적인 수출규제로 경제 위기감과 반일감정이 동시에 끓어오르고 있었다”며 “청와대와 정부의 의견은 ‘외교적 방법에 의한 해결’이었다”고 밝혔다.
이어 “어쩔 수 없다는 현실론이었지만 결국 정면 대응을 피하는 길이었다”며 “다수의 참모들의 의견에 따라 대통령께 메시지 초안이 올라갔다”고 말했다.
박 수석은 “대다수 참모들의 의견이 반영된 메시지 초안을 본 문 대통령의 반응은 ‘침묵’이었다”며 “문 대통령을 가까이에서 보좌한 참모들은 대통령의 침묵이 ‘대단한 분노’를 의미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이 당시 상황을 바둑에 비유하며 “소부장 독립을 이룰 수 있는 승부처라고 생각하는데 어떻게 이런 메시지를 건의하냐”고 질책했다고 박 수석은 회고했다.
그는 “이 위기를 이겨내지 못하면 영영 기술독립의 길은 없을 것이라는 지도자의 외로운 결단과 강력한 의지가 참모들에게 전해졌다”며 “그렇게 하여 2년 전 ‘소부장 독립운동’의 방향이 결정됐다”고 했다.
박 수석은 “아직 가야 할 길과 극복할 과제는 남아있지만 소부장 독립운동은 성공적으로 진행 중”이라며 “소부장 100대 핵심부품의 대일의존도가 31.4%에서 24.9%로 낮아졌고 시총 1조원 이상의 소부장 중견·중소기업의 수도 13개에서 31개로 2배 이상 늘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소부장 독립운동 2주년에 대통령의 통찰과 결단, 국민에 대한 믿음에 경의를 표한다”며 글을 맺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