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는 여름철 폭염 종합대책을 마련해 오는 9월 말까지 피해 방지 활동을 시행한다고 1일 밝혔다.
도는 10개 반 38명으로 구성된 데스크포스(TF)를 운영, 폭염 대응에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 9월 말까지 폭염대책 추진기간으로 정해 도심지 신호등, 교차로 그늘막 운영시설을 대폭 확대한다. 폭염에 취약한 노령자 등 취약계층은 무더위쉼터(2531곳)와 재난도우미(2만2087명)를 활용해 중점 관리한다.
마을 이장과 방문 건강관리 전문 인력, 독거노인 생활 관리사, 지역자율방재단원 등으로 구성된 재난도우미는 취약계층을 직접 방문하거나 전화를 통해 안전을 확인하는 등 모니터링을 실시한다.
폭염 취약지역에 대한 예찰과 피해 예방 계도 활동도 한다. 무더위 쉼터는 시·군 실정에 맞게 탄력적으로 운영한다. 개방 전 시설관리자 지정, 체온계·손소독제·출입자 관리대장 비치 등 사전 준비를 완료했다.
도는 한국에너지공단과 협업해 저소득 에너지 취약가구 153곳에 냉·난방기를 지원한다. 지원품목은 선풍기와 전기장판 중 한 가지를 선택할 수 있다. 선풍기는 7월과 8월, 전기장판은 10월과 11월 지원된다.
축산농가 피해 예방 대책도 추진한다. 208억원을 들여 축사 내 폭염저감 시설·장비 설치, 가축재해보험 가입 등을 지원한다. 이 보험은 시·군 축협에서 가입할 수 있다. 폭염을 포함한 각종 재해로 가축이 죽었을 경우 그 피해를 보장해 준다. 보험료 50%는 정부가, 35%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원한다.
도는 이 보험이 폭염 피해를 직접적으로 보전해주는 만큼 지속해서 가입을 독려할 계획이다. 가축의 고온 스트레스를 줄이려면 축사 내 환기장치와 냉방시설 등을 설치해야 한다. 사료에 비타민·전해질 제제를 혼합해 면역력도 높여줘야 한다.
최고기온이 33도 이상 유지되는 폭염이 지속하면 가축의 성장률이 둔화하거나 번식 장애가 나타나고 심하면 폐사에 이르기도 한다.
도 관계자는 “폭염은 햇볕을 피하는 것이 최상의 대책인 만큼 기온이 올라가는 시간대에 외출을 피하고 폭염대비 건강관리 3대 수칙을 지켜야한다”고 말했다.
충북은 지난해 폭염특보가 28일 발효됐다. 온열질환자 51명, 사망 2명 등의 피해가 발생했다. 닭 5132마리, 돼지 69마리 등 5201마리의 가축이 폐사했다. 최근 10년간 도내 폭염 일수는 평균 13.6일로 평년(8일)보다 많았다. 2018년은 36일로 역대 최장 폭염 일수를 기록하기도 했다. 올여름 역시 평균기온이 평년보다 1도 이상 높을 것으로 예보돼 폭염 일수가 평년과 비슷하거나 많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