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2022년 대선후보를 뽑기 위한 경선레이스를 시작했다. 대선에서 유권자에게 소구할만한 공약을 선보여야 하는 당 싱크탱크 민주연구원도 대선 공약의 큰 틀을 마련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경선연기를 두고 대선주자들 사이에 갈등을 겪었던 만큼 민주연구원은 공약을 고리로 주자들 간 화학적 결합을 시도한다는 계획이다.
노웅래 민주연구원장은 30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가진 국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당대표와 원내대표, 본경선에 오른 후보 6명이 모두 참여해 공약을 만드는 ‘공약 원탁회의’를 제안할 것”이라고 말했다.
노 원장은 “경쟁을 하다 보면 감정이 상할 수밖에 없다. 그렇게 되면 구심력이 만들어지기보다는 원심력이 작용하게 된다”며 “싸우더라도 한 테이블 위에서 공약을 가지고 당의 관리하에 질서 있게 싸워서 구심력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선과정에서 생길 수밖에 없는 감정싸움을 최소화하고 공약 경쟁에 집중해 본선에서의 ‘원팀’ 기조를 만들어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야권에 비해 주목도가 떨어지고 있는 경선의 역동성을 살리면서 당의 핵심 공약을 개발하는 방안도 고심 중이다. 노 원장은 “1박2일 합숙 토론을 거쳐 후보들 간 공동공약선언문을 만들거나, 유튜브를 통한 일대일·공동토론을 생중계하는 방식을 생각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유권자들의 관심도 끌고 후보 개인뿐 아니라 당 전체에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4·7 재보궐선거 참패 후 당 싱크탱크를 이끌게 된 노 원장은 대선에서 극복해야 할 대표적 과제로 부동산을 꼽았다. 이낙연 전 대표 체제에서 최고위원을 지내며 적극적인 부동산 정책을 주장했던 노 원장은 “부동산 정책의 변화를 꾀해야 한다. 부동산 정책의 목표를 무엇으로 할 것인지 확실히 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동안 우리는 부동산 가격도 안정시켜야 하고, 시세차익으로 발생한 불로소득도 막아야 하고, 고액·다주택자 세금도 많이 부과해야 한다는 생각에 아무것도 제대로 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부동산 가격 안정화를 최우선 목표로 세우고 국민에게 신뢰를 줄 수 있는 정책을 만들어나가야 한다”고 했다.
‘이준석 돌풍’이 보여준 세대교체의 요구도 민주당이 넘어야 할 산이다. 노 원장은 2002년 이후 20년 만에 대선과 지방선거가 치러지는 2022년을 정치적 대전환의 시기가 될 것이라 전망했다. 그는 “이제 기득권을 깨고 ‘민주당스러움’을 뛰어넘는 정책과 공약을 내놔야 한다”고 말했다.
이준석 국민의힘 당대표 당선이 하나의 사회현상처럼 이어질 것이라고 관측했다. 노 원장은 “이 대표의 당선이 보여준 것은 청년의 정신과 가치가 곧 시대정신이 됐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노 원장은 “무기력한 정치가 변화해야 한다는 국민의 요구가 커지고 있다”며 “거대담론보단 국민의 피부에 와 닿을 수 있는, 중도 외연 확장성이 있는 공약으로 다가가야 할 것”이라고 했다.
이가현 박재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