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의 잠자는 시간이 길수록 IQ 점수가 더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수면 시간이 아이의 지능에도 영향을 준다는 얘기다. 남아의 경우 이런 경향성이 뚜렷했다.
서울의대 환경보건센터 홍윤철 교수팀은 ‘아동의 수면 시간과 IQ 점수와의 관련성 연구’결과를 국제행동의학저널(Internaltional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최신호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만 6세 아동 538명을 대상으로 수면 시간 정보와 아이 IQ 점수와의 연관성 분석을 수행했다.
그 결과 아동의 수면 시간이 길수록 언어적 아이큐(Verbal IQ) 점수가 증가했다. 특히 성별을 나눠 남아, 여아의 연관성을 층화 분석한 결과 남아에서 이런 경향성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남아의 경우 8시간 이하로 수면을 취한 그룹보다 10시간 이상 수면을 취한 그룹의 IQ점수가 10점이나 증가돼 있는 것을 확인했다. 여아의 경우 이러한 경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진(서울의대 환경보건센터 이경신 사무국장, 한양대병원 정신과 김인향 교수 공동 1저자)은 “수면재단(National Sleep Foundation)에서는 학동 전기에는 10~13시간, 학동기에는 9~11시간을 권고 수면시간으로 지정하고 있지만 한국의 경우 7~8세 아동의 86.1%가 9시간 미만으로 수면을 취하고 있어 수면의 양이 부족한 게 현실”이라고 설명했다.
홍윤철 센터장은 30일 “아동에게 수면 시간은 신체 발달에 영향을 주지만 인지 발달 및 면역체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국외 연구에서도 아동의 수면 시간 및 수면의 질과 인지 기능 발달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결과가 다수 보고되고 있다”면서 “이번 연구에서처럼 특히 성별에 따른 연관성의 차이를 보이므로 이와 관련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민태원 의학전문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