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도심 신교통인 ‘트램(TRAM·노면전차)’ 설치사업을 본격화한다. 대구시는 앞으로 트램에 대한 시민 인식 전환을 위해 노력하는 동시에 다른 지자체들과 힘을 합쳐 트램 도입을 위한 법안 마련에 나설 방침이다.
대구시는 ‘신교통시스템 도입 사전타당성 조사용역’ 결과에 따라 서측 순환선에 트램을 시범 도입하기로 했다고 27일 밝혔다. 대구에서 노면전차 도입이 가능한 26개 노선을 대상으로 검토한 결과다.
서측 순환선은 서대구역(KTX)~평리네거리~두류역(2호선)~안지랑역(1호선)을 경유하는 연장 6.7㎞ 노선(사업비 1689억원)이다. 올해 말 서대구역 개통을 시작으로 2023년 말 대구권 광역철도 개통과 서대구 역세권 개발, 2027년 신청사 이전 등의 호재가 이어져 경제성 확보가 용이하다. 경제성(B/C)이 1.03으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반영 조건인 0.7 이상을 충족한다.
앞서 대구시는 1991년부터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에 순환선을 반영했지만 도시철도 1·2·3호선이 개통된 이후에도 경제성을 확보하지 못했다. 이에 순환형 4개 노선을 분할해 단계적으로 사업을 시행하는 변경안을 마련했고 서측 순환선에 트램을 먼저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트램 도입에는 걸림돌이 많다. 트램은 정시성, 친환경성, 쾌적성 등 많은 장점이 있지만 예비타당성조사 지침이 도로, 철도 위주로 구성돼있어 트램의 예비타당성조사 통과에 어려움이 있다. 국내 건설 사례도 아직 없다. 대전 등 14개 시·도에서 노면전차(TRAM) 도입을 검토·추진 중이다. 대구 트램은 국토부 협의 등 절차를 거쳐야 하는데 내년 중에 설치 가능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대구시는 트램의 조속한 도입을 위해 지난해 말 성남시 등 11개 시·도와 함께 트램에 대한 국토교통부의 구체적인 교통시설 투자평가 지침 마련,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조사 지침 개정 및 도로교통법 개정(트램 혼용차로 도입)을 정부에 건의했다.
노면전차의 특성상 기존 도로(2차로)를 활용해 건설되기 때문에 차량 정체 등 승용차 이용자의 불편도 예상된다. 이에 대구시는 새 대중교통 전환 필요에 대한 시민 공감대 형성에 나설 방침이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