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위기론’ 의식한 정부 “첫 2주 방역 특별점검”

입력 2021-06-25 10:31
24일 오전 서울 송파구보건소 코로나19 선별진료소에서 시민들이 검사를 받기 위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인도발(델타) 변이 바이러스와 사회적 거리두기 개편 등이 맞물려 다음달 코로나19 유행을 키울 수 있다는 우려에 정부가 한시적으로 특별 방역 점검을 실시하기로 했다. 신규 확진자 수는 사흘째 600명 아래로 떨어지지 않았다.

전해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2차장은 25일 “다음달 1일부터 2주간을 방역현장 특별점검기간으로 정해 예방적 방역관리 활동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더불어 지방자치단체에는 고위험 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진단검사 행정명령을 검토해달라고 주문했다. 전 2차장은 “7월부터 거리두기 개편 방안이 시행되는 만큼 긴장 완화로 인한 방역 누수가 발생하지 않게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발표는 의료계를 중심으로 7월 위기론이 대두되는 와중에 나왔다. 일부 전문가들은 자연형 바이러스보다 강한 전파력과 면역 회피력을 지닌 델타 변이가 수주 내엔 전 세계적 주 유행종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보고 있다. 방역 당국에 따르면 지난 22일 기준으로 국내에선 누적 190건의 델타 변이 확정 감염 사례가 보고됐다. 역학적 관련성이 있는 환자까지 포함하면 총 256건이 집계됐다.

국내 유행 상황은 안심하기 어려운 정체 양상을 이어갔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확진자가 전일 대비 634명 늘어 누적 15만3789명이라고 밝혔다. 신규 확진자 중 국내 발생 사례는 602명이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의 비중이 77.6%를 차지했다. 해외 유입 사례 32명 중엔 델타 변이가 유행 중인 인도네시아에서 들어온 확진자가 10명으로 가장 많았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