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아들인 미디어아트 작가 준용씨가 자신의 지원금 선정에 대해 “미술작가가 지원금을 신청하는 것은 운동선수가 대회에 나가는 것과 같다”고 설명했다.
준용씨는 23일 페이스북을 통해 “제가 논란을 감수하고 지원금을 신청한 이유다. 오해가 약간은 풀리기를 바란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준용씨는 “제가 하는 직업은 실험예술이다. 실험작품은 원래 잘 팔리지 않는다”며 “그래서 이런 작업을 하는 작가들은 주로 국공립미술관에서 제작비를 받거나 이번과 같은 지원금을 받아 작품을 제작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신청할 때는 작품계획서를 제출하는데, 이때 작품을 평가받게 된다. 따라서 지원금은 돈보다 선정되었다는 사실이 중요하다”며 “다른 분야와는 달리 예술지원금은 경쟁 상대가 다른 작가들이다. 마치 경연대회 입상처럼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이런 실적을 쌓아야 작가로 살아남을 수 있다”며 “그런데 실험예술은 판매 실적 같은 것이 불가능하니 지원사업 선정 실적을 쌓는 것이 필수인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준용씨는 “프로대회가 없는 운동 종목과 비슷하다”며 “저에게 국가지원금을 신청하지 말라는 것은 운동선수에게 대회에 나가지 말라는 것과 같은 셈”이라고 강조했다.
준용씨는 “지원금은 상금처럼 받는 게 끝이 아니다”며 “그것으로 제작을 하고, 선정된 작품들은 미술계의 주목 속에 평가가 이뤄진다. 그 실적이 다음으로 이어지고, 이런 과정을 반복하는 것이 제 직업”이라고 말했다.
‘지원금은 민간도 있고 공공도 있는데 왜 하필 국가에서 받아야 하느냐’는 지적에 대해선 “이번 지원사업은 저희 업계에서 올해 예정된 것 중 최대 규모”라며 “실력 있는 작가들이 모두 주목했다. 제가 운동선수라면 반드시 나가야 할 대회였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민우 기자 cmwoo11@kmib.co.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