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빛내륙철도, 2038 하계아시안게임 공동유치, 국민휴양원 조성…’
영호남 동반성장을 위한 20조 원 규모의 초광역 협력사업 윤곽이 나왔다. IT·광기반·그린에너지·의료산업 분야의 특화기술 융복합을 통해 대구·경북과 광주·전남 신성장 산업을 육성하고 상생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밑그림이다.
광주시는 오는 25일 상무지구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대구-광주 연계 협력권 발전종합계획 변경(안)’ 공청회를 개최한다고 23일 밝혔다.
대구 1군 7구, 광주 5구, 경북 3시 1군, 전남 1시 3군 등 21개 시·군·구를 공간적 범위로 설정한 연계 협력권 발전방안은 지난 2007년 12월 제정된 ‘동·서·남해안 및 내륙권 발전 특별법’에 따라 수립하는 법정계획이다.
정부는 특별법 발효 이후 국토교통부 1차관을 단장, 국토도시실장을 부단장으로 한 발전기획단을 2008년 1월 설치했다. 이듬해에는 동서남해안·접경지역 초광역 개발 기본구상과 권역별 종합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공청회는 특별법 유효기간이 애초 2020년에서 2030년으로 연장된 이후 2014년 수립한 발전종합계획을 수정·보완하기 위해 열게 됐다.
‘끈끈한 영호남 연계 협력, 모범적인 동반성장’을 청사진으로 제시한 변경(안)은 4대 추진전략과 8개 프로젝트, 36개 단위사업, 86개 세부사업을 담고 있다.
4대 추진전략은 IT·광기반 융복합 산업의 거점조성과 그린에너지 산업·의료산업의 권역 간 연계 활성화, 창조 관광 허브·화합문화 기반구축, 교통인프라·연구개발 연계기반 구축 등이다.
눈에 띄는 프로젝트와 단위·세부사업은 달빛내륙철도건설, 2038 하계아시안게임 공동 유치, 광주·대구권 국민휴양원 조성, 에코하이웨이 친환경에너지 기반구축, 국립 탄소 중립연구원 건립, 영호남 동서 고대 문화권 역사관광 경로 구축, 달빛예술힐링체험공간 확충 사업이다.
광주전남연구원은 영호남 4개 광역단체가 협업해 발굴한 이 같은 사업 추진에 20조892억 원이 필요한 것으로 추산했다.
변경(안)은 공청회를 거쳐 광역시장·도지사 4명을 공동위원장으로 구성한 대구·광주 연계 협력권 발전 공동협의회 심의를 거쳐 국토교통부에 제출돼 국토 정책위 심의를 받게 된다. 심의를 통과하면 최종 결정 고시 절차를 밟는다.
4개 광역단체와 광주전남연구원은 영호남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난해 5월부터 국토교통부와 공동으로 그동안 종합발전 계획에 관한 연구용역을 추진해왔다.
공청회는 코로나19 사회적 거리 두기 지침에 따라 현장 공청회와 온라인 공청회 병행해 진행되는 데 유튜브에서 ‘대구-광주 연계 협력권 발전종합계획’ 검색을 검색한 후 누구나 댓글 달기를 통해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
광주시 김일융 자치행정국장은 “공청회에서 시민·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고 반영해 발전종합계획을 향후 더 보완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