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가상화폐 거래가 적발될 경우 은행 계좌 말소, 전자결제 사용 영구 중지라는 초강수를 꺼내들었다. 중국이 쓰촨성 등 주요 채굴장을 폐쇄한 데 이어 거래까지 차단하는 등 국내 가상화폐 생산·유통을 모두 규제하면서 세계 가상화폐 시가총액은 약 3000억 달러(340조원) 폭락했다.
미 경제매체 CNBC는 21일(현지시간) 최근 중국 정부의 가상화폐 단속으로 가상화폐 시총이 1조6000억 달러에서 1조3000억 달러로 떨어졌다고 보도했다. 앞서 중국 인민은행이 금융기관에 가상화폐와 관련된 서비스를 중단하고 거래 색출을 지시하자 중국 공상은행과 농업은행, 건설은행 등 주요 금융기관은 성명을 내고 “가상화폐 거래 모니터링을 대폭 강화해 거래 계좌가 발견되면 해당 거래를 동결하고 계좌를 말소한 후 당국에 신고하겠다”고 밝혔다.
약 10억명의 이용자를 보유한 중국 최대 전자결제 업체인 앤트그룹의 알리페이도 성명을 내고 거래 행위 적발시 즉각 동결 조치하겠다고 했다. 알리페이는 이에 더해 가상화폐 사업자가 자사의 전자결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도록 조치하고, 위반 정도에 따라 평생 알리페이 기능을 사용할 수 없게 제한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알리페이는 “가상화폐와 관련한 어떤 사업도 수행하거나 참여하지 않는다는 점을 재차 강조한다”고 밝혔다.
중국 당국이 가상화폐 생산에 이어 거래까지 규제하고 나선 것은 추적이 어려운 개인간거래(P2P)까지 단속하기 위한 의도라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로 중국에선 위챗 등 메신저 프로그램을 통해 가상화폐의 음성적 거래가 많이 이뤄진다. 블룸버그 통신은 “중국이 가상화폐 거래와 관련한 구멍을 막기 위해서 무슨 일이든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첸수진 글로벌 투자은행 제프리스 애널리스트는 “P2P 거래는 규모가 작고 익명인 경우가 많아 추적과 적발이 어렵다”며 “가상화폐 거래는 더 어려워지겠지만 완전히 근절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발 충격에 가상화폐 가격은 일제히 하락하고 있다. 가상화폐 정보 사이트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이날 오전 8시 기준 3만1308달러에 거래됐다. 본격적으로 시세가 상승하기 시작한 지난 1월 이후 최저가를 기록한 것이다. 시가총액 기준 두 번째로 큰 가상화폐인 이더리움도 24시간 전보다 17% 하락한 1872달러를 기록했다. 도지코인 가격은 하락 폭이 더 커 35% 떨어진 18센트에 거래됐다.
정우진 기자 uzi@kmib.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