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지자체가 골목에 특색 있는 마을 이미지를 조성해 관광 사업에 활용하고 있다.
충주시는 지난해에 이어 지현동에서 ‘거리 갤러리 마라톤 전시 프로젝트’를 벌인다고 22일 밝혔다. 지현동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하나로 폐 공중전화 부스를 리모델링해 전시장소로 활용하는 것이다.
시는 폐 공중전화 부스 10개를 구입해 리모델링했으며 주민 공모를 통해 매달 새로운 콘텐츠를 전시할 예정이다.
칠금중학교 벽화동아리가 올해 첫 전시를 담당했다. 벽화동아리는 학생들은 사과나무 이야기 길에 어울리는 생동감 넘치는 작품을 선보였다.
충주의 사과나무 최초 재배지인 지현동의 역사성을 담아 골목길에 스토리텔링으로 풀어놓은 이야기가 주민의 마음을 따뜻하게 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도시재생 사업의 긍정적인 효과를 시민들이 체감하실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증평군도 군부대 인근에 특색 있는 그림을 그려 도심 미관을 산뜻하게 바꾸고 있다. 군은 육군 제37보병사단에서 연탄사거리에 병영특화 거리를 조성했다. 군은 이 구간에 충성 구호가 표기된 장병캐릭터 모형과 군화와 고무신을 생동감 있게 구현한 ‘꾸나와 곰신’ 조형물을 설치했다.
군은 34억원을 들여 병영(Army) 이음길, 문화(Culture) 이음길, 교육(Education) 이음길로 구성된 3.7㎞의 ACE(에이스)로 가는 길을 추진하고 있다.
군 관계자는 “지역을 방문하는 훈련병과 가족들에게 증평을 알리는 랜드마크를 만들겠다”고 전했다.
단양군은 충주댐 건설에 따른 수몰의 아픔을 간직한 남한강 변 옛 단양 마을이 과거와 미래가 어우러진 벽화마을을 만들었다. 2014년 시작한 단성면 단성벽화마을 공공미술프로젝트가 지난 3월 완료됐다. 벽화마을은 5개의 테마길로 구성했다. 옛 단양의 모습, 퇴계 이황과 두향이야기, 단양만천하스카이워크, 트릭아트 등 다양한 벽화를 볼 수 있다.
1시간 남짓 소요되는 골목길 벽화 투어를 하면서 남한강(단양호)이 감싸고 있는 단성면의 비경을 렌즈 안에 담을 수 있는 포토존도 곳곳에 설치했다. 이 사업에는 화가와 조각가 등 전문예술인부터 미술학도까지 다양한 사람들이 참여했다.
충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