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 10명 중 8명은 국가·지방정부의 자격증 등으로 반려동물 판매 자격을 제한하는 데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인 간 반려동물 매매를 금지하자는 데 경기도민 대다수가 동의하고 있다는 것이다.
경기도는 지난달 11일부터 12일까지 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반려동물 매매 관련 도민 여론조사’를 실시해 21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국가·지방정부에서 허가받은 자격증 등으로 반려동물 판매 자격을 제한하는 것’에 대해 경기도민 79%가 ‘찬성한다’고 응답했다.
개인 간 반려동물 매매를 금지하고, 자격을 허가받은 생산자 판매나 동물보호센터 등 기관입양만 허용하는 것에 대해서도 도민 77%가 ‘찬성한다’고 답했다.
또 반려동물 유통경로를 단축해 생산업자와 입양희망자가 직접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은 도민 76%가 찬성했다.
실제 반려동물 입양경로도 물어봤다.
입양경로에 대해서는 지인 무료가 45%로 제일 높았다.
이어 오프라인 판매업체(33%), 지인 유료(10%), 유기동물 보호·입양센터(7%), 모르는 사람 무료(5%) 등 순이었다.
가장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반려동물 입양경로는 ‘유기동물 보호·입양 센터 입양’(42%)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이어 지인 무료입양(25%), 지인 유료입양(12%), 오프라인 판매업체 입양(8%) 등 순이었다.
경기도의 동물 정책 관련해서는 특별사법경찰단의 동물보호법 위반 단속 활동(81%), 여주 반려동물 테마파크 조성과 반려동물 입양센터 운영을 비롯한 반려동물 정책(77%) 등 정책에 대해 만족도가 높은 평가를 보였다.
이번 조사는 경기도가 여론조사기관인 ㈜케이스탯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11~12일 18세 이상 도민 1000명 대상 유·무선 RDD를 활용한 전화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한편, 이재명 지사는 1월 파주시 동물 보호·복지시설 ‘더봄 센터’를 방문한 자리에서 “반려동물은 사지 말고 입양하자는 말처럼 거래를 최소화하고 입양할 수 있도록 하는 게 맞다”며 “공장식 생산을 통해 매매하는 것을 금지하고 분양을 책임질 수 있는 사람들에게 자격 면허를 줘서 엄정하게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