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2학기 전면 등교를 추진하기 위해 학교 방역 인력을 최대 6만명까지 지원하기로 했다.
학교 내 확진자 발생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2학기 개학 전후 3주간 집중방역주간도 운영한다. 특히 코로나19 확산의 취약 고리가 될 수 있는 급식 방역을 위해 칸막이 설치를 확대할 계획이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2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2학기 전면 등교를 위한 단계적 이행방안’을 발표했다.
교육부는 여름방학 동안 학교 방역 체계를 철저히 점검하고 2학기 시작부터 전면 등교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방역인력 총 6만명 지원…‘표준업무지침’ 마련
교육부는 우선 학교 수요 조사를 토대로 2학기 방역 인력 5만명을 일선 학교에 지원한다. 이를 위해 총 1617억원을 투입한다.
개학 이후에도 현장 추가 수요 조사를 거쳐 1만여명을 추가로 지원할 계획이다.
2학기에 1학기 4만9000여명보다 많은 총 6만여명이 투입되면서 전면 등교에 대비한 학교방역 지원이 강화될 전망이다.
교육부가 지난 3일부터 9일까지 전국 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코로나19 대응정책 중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학교별 방역 인력 지원’(44.9%)이 꼽힌 바 있다.
교육부는 학교가 방역 인력을 내실있게 활용할 수 있도록 표준업무지침(가이드라인)을 오는 7월 초에 안내할 예정이다. 가이드라인에는 방역업무 범위와 근무 수칙 등이 담긴다.
급식실 칸막이 확대, 지정 좌석제 운영
급식 방역에 대해서는 칸막이 설치 확대, 지정 좌석제 운영 등으로 식사 환경을 개선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교육부는 거리두기 단계별 급식소 방역 관리 방안도 마련해 2학기 개학 전 각 학교가 자체 점검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개편된 새 거리두기 1∼2단계에서는 급식실 칸막이를 설치할 경우 급식실 내 모든 자리에 앉을 수 있다. 칸막이가 없는 경우 1m 이상 거리두기를 유지하거나 한 칸 띄어 앉아야 한다.
거리두기 3단계에선 칸막이를 반드시 설치하고 한 칸 띄어 앉기도 병행해야 한다. 일반식 대신 간편식 등으로 식단도 조정해야 한다. 거리두기 4단계가 되면 원격 수업으로 전환돼 급식도 중단된다.
교육부 관계자는 “2학기 투입되는 방역 인력 중 급식 도우미를 집중적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개학 전후 3주간 학교·학원 ‘집중방역주간’ 운영
이 밖에도 교육부는 2학기 개학 전후 3주에 걸쳐 ‘학교·학원 집중 방역 주간’을 운영한다.
5월 서울·울산·인천에서 시범 운영한 이동식 유전자 증폭(PCR) 검체팀을 7월까지 경기·경북·경남에서 운영하고, 학원발 감염을 차단하기 위해 7∼8월 학원 종사자를 대상으로 선제 PCR 검사도 시행한다.
또 교육부는 8월까지 최대한 많은 학교 구성원들이 백신을 접종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현재 7∼8월에는 유·초·중·고교 교직원, 고3과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n수생의 접종이 예정돼 있다. 초·중·고 방과 후 강사도 이 시기에 백신을 접종한다.
교육부는 입시 담당 대학 관계자와 대입 예체능 학원 강사의 3분기 우선 접종을 위해 질병관리청과 협의하고 있다.
아울러 코로나 우울 등에 대응하기 위해 확진·완치 학생에게 정신 건강전문의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정신 건강 위험군 학생에겐 300만원씩 병·의원 치료비도 지원한다.
최민우 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