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와 안전보건공단은 코로나19로 경제적 어려움이 커진 기업의 노후화된 위험설비를 안전한 시설로 교체하기 위해 ‘산재예방시설 융자금 지원사업’을 추진한다고 20일 밝혔다.
이 사업은 자금 여력이 부족한 사업장이 산재 예방을 위해 안전한 설비를 구매하거나 작업 공정을 개선할 경우 사업장 1곳당 최대 10억원을 장기 저리(연리 1.5% 고정 금리, 3년 거치 7년 분할 상환)로 지원한다. 올해 예산은 3228억원으로 지난해보다 2000억원(162.9%) 늘었다. 산재예방시설 투자를 희망하는 기업은 사업장 소재지 관할 안전보건공단 일선 기관에 방문하거나 우편으로 융자금 지원사업 신청서류를 제출하면 된다.
고용부는 “코로나19 상황 등으로 경제적 어려움이 가중돼 위험하거나 노후화된 설비 교체는 기업의 부담으로 작용하기 쉽다”며 “산재예방시설 융자금 지원사업은 노후시설 교체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낮추고 지원 대상 사업장의 사망사고 감축에도 기여한다”고 설명했다.
안전보건공단이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융자시설 지원사업장을 대상으로 지원 전·후 1년간 재해율을 분석한 결과, 지원 전보다 평균 31.6% 재해율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에는 2300여 개 사업장이 지원을 신청해 시엔시(CNC) 머시닝센터 등 위험 기계·기구의 신규 설치 또는 교체 비용을 융자 지원받아 시설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김규석 고용부 산재예방보상정책국장은 “자금 여력이 부족해 안전·보건 투자에 어려움을 겪는 사업장에 대한 지원을 지속 확대해 산업현장의 사망사고 감축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최재필 기자 jp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