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승남 구리시장을 대상으로 한 주민소환 서명운동이 중단됐다.
안승남 구리시장 주민소환추진위원회는 “주민소환투표 유효 서명인수 확보가 물리적으로 불가능한데다 현실적인 문제로 서명운동을 중단한다”고 지난 17일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번 주민소환은 지난 4월 26일 구리시장 주민소환추진위원회 정경진 공동대표 등이 안 시장에 대한 지역 일부 언론보도와 SBS 보도사항을 주 내용으로 주민소환투표에 나섰다.
구리시선거관리위원회는 4월 28일 주민소환과 관련 3억원이 넘는 주민소환투표 관리경비를 구리시에 요청했으며 이는 주민소환 성사 여부와 관계없이 시에서 부담하는 의무적 사항으로 5월 17일 주민소환투표관리경비 3억900여만원을 시 예비비로 시 선관위에 납부했다.
당시 혈세 낭비가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기도 했으며, 5월 3일부터 진행된 구리시장 주민소환 서명 활동에 시민들은 냉담한 관심과 반응을 보였다.
특히, 최근 구리시가 경기도 공공기관 빅3로 불리며 연간 법인지방소득세 수입 100억의 세수증대 및 지역경제 유발효과가 가장 큰 경기주택도시공사(GH) 유치에 성공하며 역대 최대 경사를 맞았고, 경기도 환경대상에서도 최우수상을 수상하는 등 민선 7기 추진 성과가 가시화되며 주민소환 본래 취지도 크게 퇴색됐다는 지적도 받고 있다.
구리시 관계자는 “시 선관위에 납부한 3억원이 넘는 주민소환투표 관리경비는 주민소환 서명 운동이 중단되더라도 그동안 투입된 단속관리 비용을 정산하고 시 선관위에서 반환하게 된다”며 “그동안 4000여만원의 금액이 관리경비에서 지출된 걸로 알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한 구리시 한 시민단체 대표는 “선출 공무원의 시정정책에 대한 견제와 감시 차원에서 실시되고 있는 주민소환제가 당초 취지와 다르게 정치적으로 이용되어 갈등만 부축였고, 시민의 혈세만 낭비된 꼴”이라며 “이에 대한 책임을 물어 청구인 대표 등 관계자 사무실 앞에서 1인 시위를 진행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안승남 구리시장은 “시민 여러분께서 보내주신 지지와 성원에 감사드리고, 이제 서로 헐뜯고 공격하는 소모성 낡은 정치는 종식하고 화합과 단결로 오직 구리시 발전에만 매진하라는 지엄한 시민 여러분의 명으로 새기겠다”며 “앞으로 남은 임기 동안 구리시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 하겠다”고 전했다.
구리=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